메뉴 건너뛰기

젤렌스키, 광물협정·조건없는 휴전 수락…트럼프, '협상 먼저' 러에 동조
우크라, EU에 2차제재 도입 등 대러 제재 강화 요청 계획


푸틴-트럼프 통화 전하는 러시아 신문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김연숙 기자 = 러시아와 평화 협상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재 역할에 기대를 걸고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모두 수용했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성과를 얻어내지 못하면서 좌절감이 깊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젤렌스키 대통령이 3년을 넘긴 우크라이나전의 포성을 멈추기 위해 미국 측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응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접근 방식이 젤렌스키에게 아무것도 가져다주지 않았다"고 짚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이의 전쟁을 끝내겠다고 큰소리를 치며 지난 1월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력을 의식해 그가 제시해온 제안과 요구에 비교적 적극적으로 화답해왔다.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조건 없는 휴전안'을 즉각 받아들였고, 관련 논의가 진행되자 푸틴 대통령을 직접 만나겠다면서 튀르키예로 이동하기도 했다.

올초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 지원의 선결 조건으로 제시했던 '광물 협정' 역시 우크라이나에 대체적으로 불평등한 거래라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결국 사인했다.

물론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서는 종전을 위해 푸틴 대통령을 설득해 달라는 요구를 계속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기대와는 한참 다른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 푸틴 대통령과 2시간 통화 이후, 즉각적인 휴전보다는 협상이 먼저라는 러시아 측의 종전 논의 방식에 쏠리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 스스로 내건 '무조건 휴전'에서 한발 물러선 입장으로 해석된다.

백악관에서 젤렌스키 '질타'하는 트럼프 대통령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자 간 직접 대화를 강조하고 바티칸의 협상 참여 가능성을 거론하는가 하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아예 협상 과정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의중도 드러냈다.

러시아가 '조건 없는 휴전안'을 거부했을 때도 트럼프 대통령은 대러시아 추가 제재 가능성만을 입에 올렸을 뿐 실제로 추가 제재를 단행하지 않았다.

WSJ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행보에 대해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조건을 모두 받아들여야만 휴전이 가능하다'는 러시아 측 입장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논평했다. 러시아의 주장대로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속국이 된다는 것이 WSJ의 분석이다.

푸틴 대통령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태도는 지난 2월 백악관에서 "휴전을 원하지 않는 것 아니냐"며 젤렌스키 대통령 질책하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것이라고 WSJ는 지적했다.

당시 백악관에서 모욕을 견딘 대가로 젤렌스키 대통령이 얻어낸 것이라고는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후 열린 장례 미사를 계기로 바티칸에서 이뤄진 트럼프 대통령과의 1대1 대면뿐이었다고 WSJ는 덧붙였다.

바티칸에서 마주한 미국-우크라이나 정상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이 한발 물러선 상황에서 우크라이나는 유럽에 더 강력한 대러 제재를 요청할 계획이다.

우크라이나는 자산 압류, 러시아산 석유 구매자 제재 등 러시아를 고립시키기 위한 대규모 추가 조치 요구를 담은 백서를 다음주 유럽연합(EU)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백서에서 EU에 제재 대상자들의 자산 압류 절차를 가속화하고 이를 우크라이나로 보내는 법안을 채택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러시아를 돕기 위해 EU 기술을 사용하는 외국 기업들을 표적으로 삼고 러시아 석유 구매자에 대한 2차 제재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차 제재는 유럽이 지금까지 꺼려왔던 중대 조치로, 인도와 중국 등 러시아 원유 주요 수입국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는 EU가 대러 제재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만장일치가 아닌 다수결 규칙을 적용할 것을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장은 대러 제재에 거리를 두고 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 후 젤렌스키 대통령, 유럽 지도자들과 통화해 '지금은 러시아에 제재를 부과하고 싶지 않고 대화가 이뤄질 시간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우크라와 유럽 정상들
지난 16일(현지시간) 알바니아 티라나에서 열린 유럽정치공동체(EPC) 정상회의에 참석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 두번째)과 유럽 정상들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294 천하람 "함익병 '50대 룸살롱' 발언, 개인적 경험 일반화...사과해야" [이슈전파사] 랭크뉴스 2025.05.22
51293 지귀연 접대 의혹 업소 현장점검 시도…“영업중단 상태라 불발” 랭크뉴스 2025.05.22
51292 [속보]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수 발 발사" 랭크뉴스 2025.05.22
51291 [속보]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수 발 발사” 랭크뉴스 2025.05.22
51290 “금쪽이 텐트될라”… 민주당 내 성급한 ‘텐트 불리기’ 우려 고개 랭크뉴스 2025.05.22
51289 김문수 "국회의원 10% 감축, 사법방해죄 신설…제 임기는 3년" 랭크뉴스 2025.05.22
51288 호반건설 아파트 공사 현장 토사 불법 반출…무더기 송치 [취재후] 랭크뉴스 2025.05.22
51287 MBC, ‘故 오요안나 괴롭힘 가해자’ 지목된 기상캐스터와 계약 해지 랭크뉴스 2025.05.22
51286 구청·경찰, 지귀연 판사 '술 접대 의혹' 현장점검 시도‥문 닫아 철수 랭크뉴스 2025.05.22
51285 손학규 "한덕수, 김문수 캠프 합류 권유하니... 'NO' 하더라" 랭크뉴스 2025.05.22
51284 이재명 46%·김문수 32%·이준석 10%…정권교체 55%·재창출 34%[NBS](종합) 랭크뉴스 2025.05.22
51283 구글, ‘유튜브 라이트’ 출시하나…제재 피하고 자진시정으로 랭크뉴스 2025.05.22
51282 이재명 46%, 김문수 32%, 이준석 10%…서울서 김문수 약진 랭크뉴스 2025.05.22
51281 SKT 이용자 1000명, 1인당 100만원 손배소 예고 랭크뉴스 2025.05.22
51280 정청래 "새 정부 출범 전에 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법 처리" 랭크뉴스 2025.05.22
51279 배우자 리스크 자신감… 김문수 '노동운동 동지' 설난영 띄우기 랭크뉴스 2025.05.22
51278 ‘홀짝제 구간’ 잘못 안내하고 3000건 과태료…광주 동구 황당 행정 랭크뉴스 2025.05.22
51277 “이 마을만 불이 비껴갔다”…혼합림이 지켜낸 주왕산 랭크뉴스 2025.05.22
51276 교사 6천명에 김문수 특보 임명장 ‘동의 없이’ 뿌린 국힘…“불쾌” 랭크뉴스 2025.05.22
51275 우상호 "호텔경제학? 국민이 잘 못 알아들으니 쟁점 아니다" 랭크뉴스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