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낮 최고 30.8도
전국 대부분 지역 낮 기온이 25도 이상으로 오른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한 아이가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
절기상 여름의 문턱이라 일컬어지는 ‘소만’인 21일 아침은 역대 가장 더운 5월의 아침이었다. 평년보다 뜨거운 서태평양으로부터 고온다습한 남풍이 불어왔기 때문이다.
기상청은 이날 서울의 최저기온이 오전 5시53분에 기록한 23도(오후 6시 기준)라고 밝혔다. 이는 평년보다 8.9도 높은 것으로, 서울에서 기상 관측을 시작한 1907년 10월 이후 5월 ‘일최저기온’ 가운데 가장 높다. 앞서 가장 높았던 기록은 2018년 5월16일의 21.8도였다.
이날 5월 일최저기온 최고치 기록은 수도권과 강원,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갱신됐다. 1904년 8월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기상관측을 시작한 인천에선 오전 5시50분 20.7도를 기록해 역대 5월 일최저기온 가운데 가장 높았다. 120년 만에 가장 더운 5월의 아침을 맞이한 셈이다.
이어 경기 동두천(21.1도), 이천(20.8도), 파주(20.1도), 인천 강화(20.2도), 강원 원주(21.8도), 태백(19.9도), 홍천(19.5도), 철원(19.3도), 인제(18.9도), 대관령(18.1도), 경북 울진(23.4도), 울릉(23.3도), 영덕(22.0도), 경주(21.8도) 등에서도 5월 일최저기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기온은 낮에도 이어져 오후 3시20분 기준 강원 정선 33.4도, 영월 33.3도, 원주 32.1도를 기록하는 등 초여름 날씨를 보였다. 서울도 30.8도를 기록했다.
날씨가 갑자기 여름처럼 바뀐 것은 밤새 고온다습한 남풍이 대거 우리나라로 불어왔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봄(3~5월)에 주된 바람 흐름이 북풍에서 서풍, 다시 남풍으로 변하는데 이날 이례적으로 ‘여름 바람’인 남풍이 앞당겨 불어온 것이다. 이는 일본 동쪽 해상에 자리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빠른 확장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김백민 부경대학교 교수(환경대기과학)는 “현재 우리나라 남쪽 바다인 서태평양이 평년보다 매우 뜨거운 상황으로, 북태평양 고기압 확장에 굉장히 유리한 조건”이라며 “최근 수십년간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이 점점 빨라지는 경향을 보여왔다. 그 영향으로 초여름에 이뤄지던 고기압 확장이 봄철에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기압계 상황이 올여름 날씨에도 영향을 줄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김해동 계명대 교수(지구환경학)는 “현재 열대해역이나 인도양 수온이 매우 높은 상태로, 북태평양 고기압에 더해 티베트 고기압까지 북쪽으로 활성화되면 한반도가 두 고기압 사이에 끼여 무서운 폭염을 겪게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때이른 5월 더위는 당분간 주춤할 전망이다. 우진규 기상청 통보관은 “22일 새벽부터 오전에 비가 내린 뒤 습도가 떨어지고 하늘이 맑아지면서 밤사이 복사냉각(지면이 식는 과정)으로 기온이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2일 이후 이번 주말까지 아침 기온은 10~19도, 낮 기온은 22~30도로 평년(최저 13~16도, 최고 23~28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