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희대 대법원장이 지난 1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법원 대법정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을 선고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전국법관대표회의(의장 김예영 서울남부지법 부장판사)가 26일 열리는 임시회의에 ‘재판 독립’ 안건만 2개를 채택한 건 민주당발 사법부 압박에 대한 법관들의 우려가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부 법관이 제안한 대법원 판결에 관한 유감 표명 안건은 “개별 재판과 절차 진행의 당부에 관한 의견표명은 부적절하다”며 제외했다.

민주당은 지난 1일 대법원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공직선거법 사건 유죄취지 파기환송 선고 직후부터 “조희대 대법원의 부당한 대선개입, 사법쿠데타”라며 공세에 폈다. 2일 사건을 넘겨받은 서울고법이 파기환송심 기일을 ‘5월 15일 오후 2시’로 지정한 뒤 공격은 더 거세졌다. 민주당은 ‘대법관 30명 증원법’(법원조직법 개정안), ‘법 왜곡죄’ 판사처벌법(형법 개정안), ‘재판소원 허용법’(헌법재판소법 개정안), ‘대법관 3분의 1 비(非) 판검사 임명법’(법원조직법 개정안) 등 사법부 공격 법안들을 잇달아 발의했다. 조 대법원장을 포함해 “(이 후보에 유죄 다수의견을 낸) 사법쿠데타 대법관 10명 탄핵”까지 거론했다.

서울고법이 7일 이 후보의 기일변경신청서를 즉각 수용해 공판기일을 대선 이후 6월 18일로 변경했지만 공세는 멈추지 않았다. 같은 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헌정사상 초유의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소집을 의결하고 14일 강행했다. 조 대법원장 등 대법관 12명을 증인으로 채택했지만 헌법상 ‘사법부의 독립’를 이유로 전원 불참했다.
박경민 기자

김주옥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등 일부 강성 법관들이 “사법부가 과반 의석 의회권력과 적이 됐다. 조 대법원장이 책임지고 사퇴해야 한다”며 공개 비판하며 법관대표회의 소집 요구를 한 것도 지난 7일이었다. 당시 ‘대법원의 이 후보에 대한 이례적 신속 선고에 대한 유감 표명 및 정치적 중립 방안’이 안건으로 제안됐다.

이에 김예영 법관대표회의 의장이 8일 이 안건과 함께 각급 법원 법관대표 126명에 임시회 소집 여부를 온라인 투표에 부친 결과 전반적인 기류는 달랐다. 사법부 공격에 동조하느냐란 반발이 컸다. 당일 투표에선 25명만 찬성하고 약 70명이 반대해 임시회 소집 자체가 불발됐다. 결국 집행부가 투표를 하루 연장해 9일 소집 정족수(26명)를 채워 임시회를 열기로 하는 대신 안건은 법원별 의견수렴을 거쳐 추후 정하기로 했고, 20일 “재판 독립” 안건만 채택했다.

법원 내부에선 “그간 조용히 있던 법관들의 우려가 표출된 것”(지방법원 부장판사)라는 반응이 나왔다. 한 고법판사는 “대법원장도 정치권 입맛대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일선 법관의 재판은 얼마나 우습게 생각할지 우려했는데 다수의 법관도 비슷하게 생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고법판사도 “특정 사건에 대한 개인적 의견과 무관하게 재판 독립을 침해하는 건 삼권분립 원칙을 정면으로 위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지방법원 부장판사는 “저러다 말겠지 했는데 점점 더 거세지는 정치공세를 보고, 일선 법관들조차 ‘시스템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짙어진 게 반영된 안건”이라고 풀이했다.

이 후보 대법원 판결을 안건에서 제외한 데 대해선 “법관이 다른 법관의 재판에 관해 왈가왈부 않는 건 기본 원칙이라 크게 반대할 사람이 없을 것”(지방법원 부장판사)이라는 반응이 다수다.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 공판기일이 대선 뒤로 연기되면서 속도 논란 자체가 식었다는 분석도 있다. 한 지방법원 부장판사는 “당시 ‘특정 사건만 속도를 내는 건 재판의 사유화 아니냐’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서울고법이 기일을 대선 후로 연기하면서 이 우려는 사실상 해소됐다”며 “그러나 ‘외부에서의 재판 공격’은 지금도 계속 중인 문제라고 여겨서 다들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에 대표회의가 이날 법관용 자료에서 “특정 사건의 이례적 절차 진행으로 사법 독립의 바탕이 되는 사법에 대한 신뢰가 흔들린 것을 심각하게 인식한다”고 표현한 것을 놓고 “일부 법관 대표들은 회의 당일 이 후보 상고심 속도에 대한 문제제기를 할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182 김대남 전 행정관, 민주당 선대위 합류 철회‥"김문수 지지" 랭크뉴스 2025.05.22
51181 [르포]평택항에 쌓인 중국산 철강 제품...中 밀어내기에 설 땅 좁아진 K철강 [뛰는 차이나, 기로의 K산업] 랭크뉴스 2025.05.22
51180 서울지하철 첫차 시간 바뀐다…8월부터 오전 5시로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5.22
51179 전설의 아이폰 디자이너 영입...오픈AI, 애플 뛰어넘을까? 랭크뉴스 2025.05.22
51178 미국 관세 폭탄에 최악의 경우 우리 수출 10.6%↓, 성장률 0.7%p↓ 랭크뉴스 2025.05.22
51177 전국 교사에 국민의힘 ‘교육특보 임명’ 문자…개인정보 어떻게 샜나 랭크뉴스 2025.05.22
51176 남아공대통령 “남아공에 집단학살 없어”…트럼프 주장 재차 부인 랭크뉴스 2025.05.22
51175 “우화에 정색하고 있다”…이슈가 된 ‘이재명 호텔경제학’ 랭크뉴스 2025.05.22
51174 [단독] 검찰 “계엄 선포문·포고령, 노상원 작성 가능성 커” 랭크뉴스 2025.05.22
51173 손흥민, 마침내 '무관의 한' 풀었다…토트넘 우승에 감격의 눈물 랭크뉴스 2025.05.22
51172 ‘투자자들이 美국채 외면한다’…국채 하락에 증시·달러도 흔들[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5.22
51171 [영상] “또 투표 않게 잘 좀 해야”…‘뼈 때리는’ 재외 유권자 바람 랭크뉴스 2025.05.22
51170 법대 교수 "대선 사전투표 막아달라" 가처분신청…헌재서 기각 랭크뉴스 2025.05.22
51169 MBC, 故오요안나 괴롭힘 가해자 지목된 기상캐스터와 계약 해지 랭크뉴스 2025.05.22
51168 [비즈톡톡] 中 TV 추격에 매출 2위도 위태… 쫓기는 LG전자 랭크뉴스 2025.05.22
51167 [단독] 김혜경 “남편이 분열된 나라를 화합으로 이끌길 기도해요” 랭크뉴스 2025.05.22
51166 "6월 4일엔 새 대한민국"‥"다시 한번 박정희" 랭크뉴스 2025.05.22
51165 영화 ‘야당’을 본 마약 수사 브로커 ‘야당’의 영화평은?···“ 야당 시대 이제 끝났다” 랭크뉴스 2025.05.22
51164 미, ‘카타르 왕실 선물’ 항공기 인수…“대통령 전용기로 활용” 랭크뉴스 2025.05.22
51163 고글 쓰자 눈앞에 나타난 기체…항공기 정비 교육도 첨단 시대[르포] 랭크뉴스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