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 총회에서 처음으로 북한 인권 침해 상황과 관련한 별도의 고위급 회의가 열렸습니다.
특히 탈북자 2명이 발언대에 나섰는데 한국 드라마를 배포해서 처형됐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뉴욕 박일중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연단에 오른 탈북자 김은주 씨.
굶주림으로 아빠를 잃고, 음식을 찾아 나간 엄마를 어둠 속에서 기다리던 어린 시절을 생생히 증언합니다.
[김은주/탈북자 : "겨우 11살 때 어둠 속에서 혼자 기다렸습니다. 숫자를 다 세면 엄마가 돌아오실 거라고 믿고 1에서 100까지 세고 있었습니다."]
살기 위해 탈북했지만, 인신매매의 대상이 돼야 했습니다.
[김은주/탈북자 : "엄마와 누이, 저는 겨우 2천 위안, 미화 3백 달러도 안 되는 돈에 팔렸습니다."]
2년 전 원산에서 나무배를 타고 탈북한 강규리 씨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 등 북한의 3대 인권 악법의 실상을 공개했습니다.
[강규리/탈북자 : "친구 세 명이 처형됐습니다. 두 명은 한국 드라마를 유포했다는 이유였습니다. 한 명은 겨우 19살이었습니다."]
북한 관련 인권 단체들은 이런 북한의 인권 침해가 무기 개발 프로그램의 근간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그렇게 개발된 무기들은 러시아와 이란 등으로 수출되고 있다며 인권이 이차적인 문제가 아님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강력히 반발했습니다.
[김성/주유엔 북한 대사 : "자기 부모나 가족도 신경 쓰지 않는 인간쓰레기들을 증인으로 초대한 것은 더욱 개탄스러운 일입니다."]
지금까지 북한 인권 관련 회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나 인권이사회에서 개최해 왔습니다.
이번 유엔총회 차원의 고위급 회의로 모든 유엔 회원국의 관심을 끄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최유나 김나영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