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9일 경남 김해시에서 한 시민이 대선 후보 포스터를 보고 있다. 문광호 기자


6·3 대선을 2주 앞둔 20일 인구 200만명에 가까운 ‘낙동강벨트’(서부산·경남 동부권) 민심이 심상치 않다. 매 선거 격전지로 분류됐지만 보수가 근소 우위였던 이 지역에서조차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선포한 12·3 불법계엄에 대한 여론은 싸늘하다. 탄핵 정국, 단일화 잡음에 국민의힘에 대한 시선도 곱지 않다. 지난 19일 역대 선거마다 격전지였던 낙동강벨트, 그 중에서도 초접전지였던 부산 강서구 명지동과 경남 김해 장유동을 찾아 대선 민심 들어봤다.

낙동강벨트는 보수가 우세한 지역이지만 민주당 진영 대통령(노무현·문재인)을 배출하기도 한 선거의 바로미터다. 2022년 대선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부산 강서구에서 53.50%를 득표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42.92%)를 10.58%포인트 앞섰다. 김해에서는 윤 전 대통령 49.33%, 이 후보 46.23%로 득표율 차가 3.1%포인트에 불과했다. 지난해 22대 총선에서는 부산 강서구에서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김해갑·을에서 민홍철·김정호 민주당 의원이 각각 당선됐다.

낙동강벨트에서 만난 시민들은 불법계엄 선포, 탄핵심판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느낀 실망감을 숨기지 않았다. 부산 명지시장에서 주차관리 일을 하는 곽병관씨(79)는 “이런 시절에 계엄이 어디 있나”라며 “이번엔 부산에서도 좀 다를 것이다. 박근혜 탄핵 때랑 달리 이번에는 완전히 이 사람(윤 전 대통령) 잘못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나처럼 나이 먹은 사람들도 보수에서 진보로 지금 많이 넘어갔다”며 “하는 꼬라지(꼴)를 보니 도저히 안 되겠다”고 했다.

강서구 명지동에 20년 넘게 거주한 김정호씨(50)는 이재명 후보를 뽑을 생각이라며 “탄핵됐을 때 잘못했다고 수긍했으면 국민의힘도 민심은 잃지 않았을 낀(텐)데 끝까지 죄가 없다고 (윤 전 대통령을) 옹호하니 이미 부산 민심은 다 잃었다. 주변에서도 다 돌아섰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국회의원 선거까지도 영향이 있을 것 같다”며 “(윤 전 대통령이) 뻔뻔하게 거짓말할 때 화가 났다. (군인들이 국회) 유리창 깨고 하는 걸 TV로 다 봤는데 재판 과정에서 고개 빳빳하게 들고···”라고 말했다.

김해에서도 정권 심판을 바라는 목소리가 컸다. 김해에서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한 60대 남성은 “국민의힘 이야기는 꺼내지도 말라. 요새 국민의힘 얘기하면 욕 들어 먹는다”며 “윤석열이 나라를 망하게 만들어놨지 않나. 너무 밉다”고 말했다. 김해에 거주하는 한 40대 여성은 “이재명 후보가 내란세력 심판을 앞장서서 제대로 해줄 것 같다”며 “회사 동료들끼리 말은 못하지만 바른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19일 부산 강서구 명지신도시의 모습. 문광호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에 대해서는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김해에서 원예업을 하는 한 60대 여성은 “국민의힘 사람들을 믿을 수가 없다”며 “김문수씨는 그렇게 뭐 22번이나 그렇게 (한덕수 전 총리와) 단일화한다고 하고서 자기가 올라가니까 말을 뒤집었다”고 했다. 그는 또 “김 후보는 나이도 많고 옛날에 경기지사 할 때 소방관한테 ‘도지삽니다’ 그것도 안 좋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보수 우위 지역인 만큼 “그래도 국민의힘”이라고 말하는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다만 시민들은 불법계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실망감, 대선 패배 전망 등을 이유로 지지 후보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기를 꺼렸다. 김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힌 시민들도 그 이유로 비전이나 능력에 대한 기대감보다 “이재명 후보가 싫어서”라고 말했다.

명지시장에서 지난 18일 열린 첫 TV토론 재방송을 보던 한 상인은 “투표하고 싶은 마음도 없는데 그래도 가서 찍어야 안 되겠나. 국민의힘 찍지 우리가 어딜 찍겠나”라며 “(대통령으로) 이재명이 자체가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김 후보가 좋아서는 아니라며 “매력이 없다”고 말했다. 명지시장의 다른 상인은 김 후보에 대해 “(국회에서) 다 일어나서 인사하라고 할 때도 자기 혼자만 안 일어나던데 그건 참 좋더라”라고 호평했다. 명지신도시에서 케이크 전문점을 운영하는 박효진씨(32)는 “(비상계엄은) 최악이었다. 주변에서 다들 미쳤다고 했다”면서도 “(이 후보는) 범죄자라 뽑기가 그렇다”고 말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를 보수의 대안으로 생각하는 시민도 있었다. 부산 강서구에서 노인 일자리 모니터링을 하는 서연숙씨(63)는 “국민의힘이 개혁을 해야 하는데 다 옛날에 했던 분들을 쓰고 불러들인다. ‘꼰대’들이 많다”며 “기득권들이 똘똘 뭉쳐갖고 새로운 사람, 좀 똑똑한 사람이 들어오면 다 쳐내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김문수 후보도 다 밑에서 조정하는 것”이라며 “젊은 이준석이라도 (단일 후보로) 밀면 뭔가 (보수가) 조금 바뀔 것 같은데 (현실적으로) 그것도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싸늘한 민심 탓인지 낙동강벨트의 선거전은 차분한 분위기 속 치러지고 있었다. 부산과 김해에서 만난 다수의 시민들은 대선을 언급하자 얘기할 것이 없다며 손사래를 쳤다. 국민의힘이 선거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해에서 두부집을 운영하는 이재학씨(61)는 “이재명 (유세)차만 계속 돌아다닌다”며 “국민의힘은 눈 씻고 찾아볼래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민들이 차기 대통령에게 바라는 바는 경제 활성화였다. 부산 명지신도시에서 약사로 일하는 30세 여성은 “지방 경제가 좀 살아났으면 좋겠다”며 “다 서울로 가지 않나. 남아 있는 사람도 없고”라고 말했다. 부산에 거주하는 한 30대 남성은 “먹고 살기 바빠 정치에 관심이 없었다”며 “경제를 살리는 후보가 대통령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58 영화 속 ‘계엄 선포’ 장면에 박수받는 윤석열 [포착] 랭크뉴스 2025.05.21
50857 청주 한 초등학교서 외부인 숨진 채 발견…학생들 대피 소동 랭크뉴스 2025.05.21
50856 “모건스탠리가?” 다이먼 JP모건 CEO 비트코인 구매 허용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5.21
50855 [현장+]인천서 해수부 부산 이전 언급한 李…"인천만의 발전 전략 세워야" 랭크뉴스 2025.05.21
50854 이재명 “윤석열, 본인 이긴 선거시스템도 부정선거인가…이해 안 가” 랭크뉴스 2025.05.21
50853 떠난 의사 대신해… 내달부터 간호사도 ‘피부 봉합’ 등 가능 랭크뉴스 2025.05.21
50852 대형화재·선거 미끼 '노쇼' 사기 기승…"각별 주의" 랭크뉴스 2025.05.21
50851 "전광훈 내란 선동에 정신적 고통"…427명 손배소 제기 랭크뉴스 2025.05.21
50850 한화 “배관 교체 승인 받아” vs 軍 “협의 없어”… 호위함 결함 놓고 공방 랭크뉴스 2025.05.21
50849 '새집론' 국힘, 이준석 유세도 찾아가 단일화 구애…李는 '거절' 랭크뉴스 2025.05.21
50848 400만 수험생 멘토 이지영, UNIST 인공지능 특임교수로 랭크뉴스 2025.05.21
50847 이재명 "보호 넘어 복지" 김문수 "반려동물과 행복"··· 동물의 삶 나아질까 [H공약체크] 랭크뉴스 2025.05.21
50846 '부정선거 영화' 관람한 尹에 김용태 "반성하고 자중할 때" 랭크뉴스 2025.05.21
50845 “오히려 김건희 여사 소환됐다?” 질의에 김문수 답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21
50844 "로고송 시끄러워"…흉기든채 이재명 후보 선거운동원에 항의 랭크뉴스 2025.05.21
50843 “7월 시행 DSR 3단계” 서울·수도권·지방 시장의 향방은? 랭크뉴스 2025.05.21
50842 민주당 "김문수 '도지사 갑질' 논란, 불법후원 기업연관‥해명해야" 랭크뉴스 2025.05.21
50841 中 "美, 화웨이 제한하면 제재"…왕이, 강경화 만나 반도체 언급 랭크뉴스 2025.05.21
50840 늙고 병들면 누가 날 돌봐줄까…“배우자” 제친 1위는 랭크뉴스 2025.05.21
50839 이재명 “국힘 조만간 ‘석고대죄 쇼’ 하겠지만…윤석열과 일심동체”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