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저고위 '결혼·출산·양육 인식조사' 발표
결혼 긍정적 인식 남녀 전반 상승세
20대 젊은 여성층 증가 폭 두드러져
출산 의향도 1년 사이 6.6%p 증가
주형환 "저출산 흐름 반전 이어가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한 육아 전시 박람회장에 다양한 육아 용품이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최근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자녀가 없는 20대 여성층에서 출산 의향이 증가해 저출산 흐름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3월 31일부터 4월 10일까지 전국 만 25~49세 국민 총 26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결혼과 출산·육아에 대한 국민 인식과 정부 정책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해 3월과 9월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됐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결혼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결혼에 대한 전체 남녀의 긍정적 인식은 지난해 3월 70.9%에서 올 3월 72.9%로 2%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미혼 남녀 가운데 20대 여성의 결혼 의향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 눈에 띄었다. 만 25~29세 미혼 여성 중에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64%로 1년 전보다 7.4%포인트 증가했다.

임신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크게 높아졌다.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전체 남녀의 비율은 70.9%로 지난해 3월보다 9.8%포인트, 같은 해 9월보다는 2.7%포인트 증가했다. 자녀 없는 미혼 및 기혼 남녀의 출산 의향이 지난해부터 꾸준히 늘며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자녀가 없는 남녀의 출산 의향은 32.6%에서 39.7%로 높아졌다. 특히 무자녀 중에서도 만 25~29세 여성의 출산 의향이 26.4%에서 34.7%로 1년 사이 6.6%나 증가했다. 반면 ‘자녀를 낳지 않겠다’는 답변은 36.8%에서 28.4%로 8.4% 줄어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가 20대 여성 층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전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는 1.8명으로 앞선 두 차례의 조사 때와 변함이 없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신혼부부 특공과 출산휴가 확대, 다자녀 지원 등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부의 대책이 집중되면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뀐 점이 통계에서도 드러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구 교수는 “결혼 이후 남성의 경제적 책임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육아와 가사 부담까지 늘면서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결혼을 기피하는 경향이 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20대 미혼 남성의 결혼 의향은 이 기간 75.5%에서 72.1%로 3.4%포인트 줄었다. 전체 미혼 남녀의 결혼 의향은 65.2%로 전년 대비 4.2%포인트 증가했다.

맞벌이 가구의 원활한 자녀 양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육아 지원 제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직장 문화(55.6%) △돌봄 서비스 이용 기회 및 시간 보장(39.8%) △육아 시간 확보를 위한 제도 확대(36.3%) △배우자도 육아에 동참할 수 있는 제도 개선(24.4%) 등의 순으로 꼽혔다.

국민들의 인지도가 가장 높은 저출생 정책 과제는 ‘신혼·출산·다자녀 가구에 주택 공급 확대(77%)’가 차지했다. 이어 △신생아·특례대출 가구의 소득 기준 완화(71.9%) △다자녀 가정 혜택 확대(68.4%) 등의 순이었다.

정책의 기대 효과를 살펴보면 일·가정 양립 지원 부문에서는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인상(73.3%)’이 가장 높았다. 교육 돌봄 지원 부문에서는 ‘유치원·어린이집 무상 교육, 보육 정책 실현(75.3%)’, 결혼·출산·양육 지원 분야에서는 ‘다자녀 가정 요금 감면 혜택(69.8%)’ 등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향후 강화가 필요한 정책 과제로는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추가(일·가정 양립)△아이 돌봄 서비스 정부 지원 확대(교육·돌봄) △결혼·출산 가구에 대한 세금 혜택 확대(결혼·출산·양육) △전세자금 소득 기준 추가 완화(주거) 등이 꼽혔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최근 합계출산율의 반등과 혼인 건수 증가 등에 이어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인 변화”라며 “이번 회복 흐름이 일시적인 반등에 그치지 않도록 좋은 일자리 부족, 수도권 집중 등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기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29 방송 중단한 백종원...뭐하나 봤더니 랭크뉴스 2025.05.21
50728 심우정 검찰총장, 이창수 중앙지검장 사의에 “흔들림 없이 역할 수행” 랭크뉴스 2025.05.21
50727 홍준표 '김문수 선대위 합류 안 한다' 입장 재확인 랭크뉴스 2025.05.21
50726 국민 64% "尹 내란죄로 처벌해야"... 아스팔트 보수만 동떨어진 민심[한국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21
50725 [샷!] 빵·김·소주…'맛있는' 대선 캠페인 랭크뉴스 2025.05.21
50724 ‘신안산선 붕괴’ 포스코이앤씨, “끝까지 책임 다하겠다” 입장 밝혀 랭크뉴스 2025.05.21
50723 “계엄 뒤 이 날만 기다렸다”…미국 유권자 5만명 재외투표 시작 랭크뉴스 2025.05.21
50722 [속보]전세계서 25만여명 대선 재외투표 시작 랭크뉴스 2025.05.21
50721 "네 까짓 게"…이 말이 식모살이 고충보다 더 아팠다 [안혜리의 인생] 랭크뉴스 2025.05.21
50720 "영웅 아들 바란 적 없다" 엄마의 통곡…비탄 잠긴 이 마을 [종전협상 우크라를 가다①] 랭크뉴스 2025.05.21
50719 북·중·러 미사일 위협 대응…트럼프 “3년 내로 미 본토 보호 ‘골든돔’ 구축” 랭크뉴스 2025.05.21
50718 더본코리아, 점주 상생위원회 가동… 백종원 사재 출연도 검토 랭크뉴스 2025.05.21
50717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타격설에 국제유가 급등 랭크뉴스 2025.05.21
50716 정부, 통상리스크 대응에 28.6조 정책금융 공급 랭크뉴스 2025.05.21
50715 홍준표, ‘김문수 선대위’ 합류 거절… “대선 후 돌아간다” 랭크뉴스 2025.05.21
50714 국힘 특사단 만난 홍준표 "대선 후 돌아간다는 입장 변함없다" 랭크뉴스 2025.05.21
50713 ‘하와이 특사단’ 만난 홍준표 “대선 후 돌아간다는 입장 변함 없어” 랭크뉴스 2025.05.21
50712 홍준표 "대선 끝나고 돌아간단 입장 변함 없어" 랭크뉴스 2025.05.21
50711 “평생 빨간당 뽑았지만, 계엄은 아니잖여”…돌아선 중원 민심 랭크뉴스 2025.05.21
50710 '하와이 특사단' 빈손?…洪 "대선 뒤 돌아간단 입장 변함없다"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