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저고위 '결혼·출산·양육 인식조사' 발표
결혼 긍정적 인식 남녀 전반 상승세
20대 젊은 여성층 증가 폭 두드러져
출산 의향도 1년 사이 6.6%p 증가
주형환 "저출산 흐름 반전 이어가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한 육아 전시 박람회장에 다양한 육아 용품이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최근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자녀가 없는 20대 여성층에서 출산 의향이 증가해 저출산 흐름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3월 31일부터 4월 10일까지 전국 만 25~49세 국민 총 26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결혼과 출산·육아에 대한 국민 인식과 정부 정책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해 3월과 9월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됐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결혼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결혼에 대한 전체 남녀의 긍정적 인식은 지난해 3월 70.9%에서 올 3월 72.9%로 2%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미혼 남녀 가운데 20대 여성의 결혼 의향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 눈에 띄었다. 만 25~29세 미혼 여성 중에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64%로 1년 전보다 7.4%포인트 증가했다.

임신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크게 높아졌다.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전체 남녀의 비율은 70.9%로 지난해 3월보다 9.8%포인트, 같은 해 9월보다는 2.7%포인트 증가했다. 자녀 없는 미혼 및 기혼 남녀의 출산 의향이 지난해부터 꾸준히 늘며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자녀가 없는 남녀의 출산 의향은 32.6%에서 39.7%로 높아졌다. 특히 무자녀 중에서도 만 25~29세 여성의 출산 의향이 26.4%에서 34.7%로 1년 사이 6.6%나 증가했다. 반면 ‘자녀를 낳지 않겠다’는 답변은 36.8%에서 28.4%로 8.4% 줄어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가 20대 여성 층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전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는 1.8명으로 앞선 두 차례의 조사 때와 변함이 없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신혼부부 특공과 출산휴가 확대, 다자녀 지원 등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부의 대책이 집중되면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뀐 점이 통계에서도 드러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구 교수는 “결혼 이후 남성의 경제적 책임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육아와 가사 부담까지 늘면서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결혼을 기피하는 경향이 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 20대 미혼 남성의 결혼 의향은 이 기간 75.5%에서 72.1%로 3.4%포인트 줄었다. 전체 미혼 남녀의 결혼 의향은 65.2%로 전년 대비 4.2%포인트 증가했다.

맞벌이 가구의 원활한 자녀 양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육아 지원 제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직장 문화(55.6%) △돌봄 서비스 이용 기회 및 시간 보장(39.8%) △육아 시간 확보를 위한 제도 확대(36.3%) △배우자도 육아에 동참할 수 있는 제도 개선(24.4%) 등의 순으로 꼽혔다.

국민들의 인지도가 가장 높은 저출생 정책 과제는 ‘신혼·출산·다자녀 가구에 주택 공급 확대(77%)’가 차지했다. 이어 △신생아·특례대출 가구의 소득 기준 완화(71.9%) △다자녀 가정 혜택 확대(68.4%) 등의 순이었다.

정책의 기대 효과를 살펴보면 일·가정 양립 지원 부문에서는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인상(73.3%)’이 가장 높았다. 교육 돌봄 지원 부문에서는 ‘유치원·어린이집 무상 교육, 보육 정책 실현(75.3%)’, 결혼·출산·양육 지원 분야에서는 ‘다자녀 가정 요금 감면 혜택(69.8%)’ 등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향후 강화가 필요한 정책 과제로는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추가(일·가정 양립)△아이 돌봄 서비스 정부 지원 확대(교육·돌봄) △결혼·출산 가구에 대한 세금 혜택 확대(결혼·출산·양육) △전세자금 소득 기준 추가 완화(주거) 등이 꼽혔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최근 합계출산율의 반등과 혼인 건수 증가 등에 이어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인 변화”라며 “이번 회복 흐름이 일시적인 반등에 그치지 않도록 좋은 일자리 부족, 수도권 집중 등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기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66 [르포] “국힘 꼬라지 보니 안돼” “부산도 돌아섰다”···계엄에 싸늘한 낙동강, 심상찮다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65 6兆 건기식 시장 잡아라, 제약업계 경쟁 가열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64 트럼프 "우주기반 MD체계 골든돔 재임중 가동"…中러北 위협대비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63 [르포]반도체 中과 기술 격차 '최대 5년'...골든 타임 끝나간다[뛰는 차이나, 기로의 K산업]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62 이창수 “사퇴해서라도 탄핵 부당함 알려야”… 줄사직 이어지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61 野검찰 압박에 검사 이탈 가속…이창수 중앙지검장 사의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60 [속보] 트럼프, 美본토 對미사일 방어망 '골든돔' 공개…"임기 중 가동"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9 캐리어에 쌀 채워 귀국한다…日관광객 '한국 쌀 사재기' 왜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8 이재명 "서울대 10개" 김문수 "공동 졸업장"···대학 서열 힘빼기, 누가 돼도 한다[H공약체크]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7 [단독] 법원, 검찰 직접수사에 제동… "관련범죄 수사개시 엄격히 제한"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6 중앙지검장·4차장 동반 사의…내부선 "대선 후 보복 위기감"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5 이재명, 인천서 사흘째 수도권 표밭갈이…지역구 계양도 찾아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4 민주화운동 유공자 김문수 '10억 보상금' 거절 논란 따져보니 [H팩트체크]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3 중국 CATL, 홍콩 증시 상장 첫날 16% 급등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2 계엄으로 길 잃은 15%, 국민의힘 놓치고 있다 [한국일보 여론조사]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1 미주 7만여명 대선 재외투표 시작…"부디 나라 잘 이끌어주길"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50 美국방부, 바이든 행정부의 아프간 미군 철수 조사…"책임 규명"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49 “명절선물 받으셨죠? 5억8700만원 내세요" 김천시민 902명 과태료 '폭탄'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48 英, '가자 공격' 이스라엘 FTA 협상 중단…EU도 협정 재검토키로(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5.21
50647 美국무 "트럼프, 푸틴이 협상에 관심없다고 생각되면 제재 실행"(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