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분기 최대 카카오뱅크·첫 연간흑자 토스뱅크
상장 시급한 케이뱅크는 순이익 급감
업비트 가상자산 예치금 수수료 상승한 탓
수익성 유지 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 필요

케이뱅크 사옥. /케이뱅크 제공

인터넷전문은행 3사 중 케이뱅크만 역성장하고 있다. 순이익을 비교하면 케이뱅크는 카카오뱅크와 격차가 점점 벌어졌으며,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고 있지 않은 토스뱅크에도 뒤처졌다. 기업공개(IPO)가 시급한 케이뱅크는 최근 주관사를 선정하고 있지만, IPO 흥행을 위해서는 수익 다각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토스뱅크(하나금융지주 사업보고서 기준)는 올해 1분기 187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하나금융은 토스뱅크 지분 9.5%를 보유한 주주로 사업보고서에 토스뱅크 실적이 기재된다. 지난해 첫 연간 흑자를 달성한 토스뱅크는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6.4%나 성장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도 역대 최고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1분기 영업이익은 1830억원, 당기순이익 13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3%, 23.6% 늘었다. 수신 잔액은 60조4000억원으로 분기 최초로 60조원을 돌파했다.

반면 케이뱅크의 1분기 성적표는 암울했다. 올해 1분기 케이뱅크는 16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는데, 전년 동기(500억원) 대비 68.2% 감소했다. 머니마켓펀드(MMF) 운용 수익 확대와 플랫폼 광고 매출 본격화를 통한 비이자수익은 늘어났으나, 가상자산거래소 예치금 이용료율 상향으로 이자 비용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문제로 꼽혔다.

케이뱅크는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의 원화 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케이뱅크의 실적은 업비트를 통한 높은 가상자산 예치금이 뒷받침해 왔다. 1분기 기준 두나무의 예치금은 5조4994억원으로 케이뱅크의 전체 수신 잔액(27조7979억원)의 20% 수준이다. 가상자산거래소들은 고객에게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하고 있는데, 거래소들의 예치금 경쟁에 따라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이 0.1%에서 2.1%로 상승했다. 이 때문에 케이뱅크가 지급하는 이자 비용도 급증했다.

올해 세 번째 기업공개를 준비하는 케이뱅크를 두고 일각에서는 수익성 유지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인터넷은행 3사 모두 가계 대출이 제한적이고 이자 수익이 감소한 외부 환경은 동일하지만 케이뱅크만 실적이 뒷걸음질 친 건 그간의 실적이 가상자산 예치금에 의존해 왔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래픽=손민균

케이뱅크는 고객 확보를 위해 높은 예금 금리를 유지하면서 대출 금리를 비교적 낮게 설정하고 있다. 1분기에만 고객 수가 90만명 늘어나면서 1년 새 30%가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단기 유동성 확보에는 유리하지만 비용 부담이 크고 이자 마진도 축소되는 전략이다. 업비트 예치금 이자 비용이 늘어난 상황에서 이런 전략은 장기적으로 수익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동시에 상장 일정도 촉박하다. 지난 2021년 케이뱅크는 사모펀드로부터 7000억원대의 투자를 유치하며 상장 기한 조건을 걸었다. 2026년 7월까지 상장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동반매도청구권에 따라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 최대 주주인 BC카드는 재무적 투자자(FI) 지분을 인수하거나 제4자에게 넘겨야 한다.

지난 2월 상장예비심사 효력이 만료되면서 케이뱅크는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장을 준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으나, 상장 기한이 1년 정도밖에 안 남은 만큼 시간이 넉넉하지 않다. 실제로 케이뱅크는 최근 주요 대형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22 코로나 또 심상찮다…태국 2주새 5만명 확진, 홍콩선 3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5.21
50621 [단독] "곧 계엄군 온다"‥경찰, 비상계엄 당일 선거연수원 출입 막았다 랭크뉴스 2025.05.21
50620 [사설]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김문수 '민주화보상금' 맞고발전 한심하다 랭크뉴스 2025.05.21
50619 [단독]국내 최초 상업용 ESS, 10년만에 셧다운 랭크뉴스 2025.05.21
50618 금호리조트도 참전... ‘흥행’ 중부CC 매각, 속도전으로 랭크뉴스 2025.05.21
50617 파푸아뉴기니 마당 북서쪽 바다서 규모 6.4 지진 랭크뉴스 2025.05.21
50616 [단독] "尹 장모 요양원, 신체적·성적 학대 있었다"‥당국 합동조사 결론 랭크뉴스 2025.05.21
50615 ‘샤이 보수’ 결집 35% 넘긴 김문수, 부울경서 이재명 따라잡을까 랭크뉴스 2025.05.21
50614 '건진 샤넬백' 수행비서에 전달 확인…김여사 측 "검찰 오해"(종합) 랭크뉴스 2025.05.21
50613 '호텔경제학' 비판 이준석에 이재명 "바보들…동네 돈 돌면 경제 나아져" 랭크뉴스 2025.05.21
50612 러, WTO에 'EU 탄소국경조정제' 제소…EU "규정 부합 확신" 랭크뉴스 2025.05.21
50611 [대선언팩] ‘대통령 연임·총리 국회 추천’ 7년 새 입장 뒤집은 국힘·민주 랭크뉴스 2025.05.21
50610 154조 이르는 치매머니, 돌봄비용 완화 수단으로 활용해야[홍석철이 소리내다] 랭크뉴스 2025.05.21
50609 SK하이닉스 부스 ‘깜짝’ 방문한 젠슨 황…“HBM4 잘 지원해달라” 랭크뉴스 2025.05.21
50608 “하하 너무 쉽네”…미 교도소 10명 집단 탈옥 랭크뉴스 2025.05.21
50607 러-우 전쟁 ‘해결사’ 자처하더니…트럼프 "직접 협상하라" 랭크뉴스 2025.05.21
50606 연봉 1억 직장인, 주담대 한도 최대 3300만원 ↓ 랭크뉴스 2025.05.21
50605 러, 푸틴 제안한 '각서'로 우크라에 "협력" 압박 랭크뉴스 2025.05.20
50604 서방 3개국, 이스라엘의 가자 맹폭에 “좌시 않겠다” 경고 랭크뉴스 2025.05.20
50603 트럼프 “러·우, 휴·종전 협상 즉각 시작”…푸틴 “조건 충족돼야 재개” 랭크뉴스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