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분기 최대 카카오뱅크·첫 연간흑자 토스뱅크
상장 시급한 케이뱅크는 순이익 급감
업비트 가상자산 예치금 수수료 상승한 탓
수익성 유지 위해 포트폴리오 다각화 필요

케이뱅크 사옥. /케이뱅크 제공

인터넷전문은행 3사 중 케이뱅크만 역성장하고 있다. 순이익을 비교하면 케이뱅크는 카카오뱅크와 격차가 점점 벌어졌으며,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고 있지 않은 토스뱅크에도 뒤처졌다. 기업공개(IPO)가 시급한 케이뱅크는 최근 주관사를 선정하고 있지만, IPO 흥행을 위해서는 수익 다각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토스뱅크(하나금융지주 사업보고서 기준)는 올해 1분기 187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하나금융은 토스뱅크 지분 9.5%를 보유한 주주로 사업보고서에 토스뱅크 실적이 기재된다. 지난해 첫 연간 흑자를 달성한 토스뱅크는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6.4%나 성장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도 역대 최고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1분기 영업이익은 1830억원, 당기순이익 13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3%, 23.6% 늘었다. 수신 잔액은 60조4000억원으로 분기 최초로 60조원을 돌파했다.

반면 케이뱅크의 1분기 성적표는 암울했다. 올해 1분기 케이뱅크는 16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는데, 전년 동기(500억원) 대비 68.2% 감소했다. 머니마켓펀드(MMF) 운용 수익 확대와 플랫폼 광고 매출 본격화를 통한 비이자수익은 늘어났으나, 가상자산거래소 예치금 이용료율 상향으로 이자 비용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문제로 꼽혔다.

케이뱅크는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의 원화 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케이뱅크의 실적은 업비트를 통한 높은 가상자산 예치금이 뒷받침해 왔다. 1분기 기준 두나무의 예치금은 5조4994억원으로 케이뱅크의 전체 수신 잔액(27조7979억원)의 20% 수준이다. 가상자산거래소들은 고객에게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하고 있는데, 거래소들의 예치금 경쟁에 따라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이 0.1%에서 2.1%로 상승했다. 이 때문에 케이뱅크가 지급하는 이자 비용도 급증했다.

올해 세 번째 기업공개를 준비하는 케이뱅크를 두고 일각에서는 수익성 유지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인터넷은행 3사 모두 가계 대출이 제한적이고 이자 수익이 감소한 외부 환경은 동일하지만 케이뱅크만 실적이 뒷걸음질 친 건 그간의 실적이 가상자산 예치금에 의존해 왔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래픽=손민균

케이뱅크는 고객 확보를 위해 높은 예금 금리를 유지하면서 대출 금리를 비교적 낮게 설정하고 있다. 1분기에만 고객 수가 90만명 늘어나면서 1년 새 30%가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단기 유동성 확보에는 유리하지만 비용 부담이 크고 이자 마진도 축소되는 전략이다. 업비트 예치금 이자 비용이 늘어난 상황에서 이런 전략은 장기적으로 수익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동시에 상장 일정도 촉박하다. 지난 2021년 케이뱅크는 사모펀드로부터 7000억원대의 투자를 유치하며 상장 기한 조건을 걸었다. 2026년 7월까지 상장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동반매도청구권에 따라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 최대 주주인 BC카드는 재무적 투자자(FI) 지분을 인수하거나 제4자에게 넘겨야 한다.

지난 2월 상장예비심사 효력이 만료되면서 케이뱅크는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장을 준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으나, 상장 기한이 1년 정도밖에 안 남은 만큼 시간이 넉넉하지 않다. 실제로 케이뱅크는 최근 주요 대형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465 ‘조희대 사퇴’ 안건서 빠졌다···법관회의, 26일 ‘재판독립 침해 우려’ 논의 랭크뉴스 2025.05.20
50464 이재명 대법원 판결 논란에···전국 법관들 모인다 랭크뉴스 2025.05.20
50463 '김문수 펀드' 19분간 250억 모았는데…'이재명 펀드' 못 만든 이유 [대선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5.20
50462 법관회의, 26일 ‘재판독립 침해 우려’ 안건 논의한다…‘조희대 사퇴’는 빠져 랭크뉴스 2025.05.20
50461 ‘6·3 대선’ 보수 단일화 최대 변수로…김문수·이준석 평행선 향방은 랭크뉴스 2025.05.20
50460 법관대표회의, 26일 재판 독립 침해 관련 의견 모은다 랭크뉴스 2025.05.20
50459 '이재명 재판' 논란에 소집된 법관대표회의, 채택된 안건은 랭크뉴스 2025.05.20
50458 '숏친자' 정청래 '라친자' 박주민… 유튜브서 눈도장 찍기 공들이는 의원들 랭크뉴스 2025.05.20
50457 ‘시흥 흉기사건’ 4명 사상…경찰, 차철남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5.05.20
50456 1주만 가져도 '승무원 미스트' 반값…주주 우대 나선 '코스피 새내기' [시그널] 랭크뉴스 2025.05.20
50455 ‘배우자 토론’ 제안에 “김건희는?…국힘 경선 때도 하지 그랬나” 랭크뉴스 2025.05.20
50454 “경호 필요 없다, 총 맞을 일 있으면 맞겠다”는 김문수···이재명에 ‘과잉’ 주장 랭크뉴스 2025.05.20
50453 이진우 “윤석열, 문 부수고 끄집어내라 지시···정상 아니라고 생각” 법정서 첫 진술 랭크뉴스 2025.05.20
50452 트럼프 관세 폭탄 터졌다...자동차 미국 수출 20% 폭락 랭크뉴스 2025.05.20
50451 [속보] 법관대표회의, '공정성 준수·재판독립 침해 우려' 안건 채택 랭크뉴스 2025.05.20
50450 李, 'SPC 사망사고'에 김문수 겨냥 "중대재해법이 악법인가"(종합) 랭크뉴스 2025.05.20
50449 [2보] '재판독립 침해 우려·공정성 준수' 법관대표회의 안건 채택 랭크뉴스 2025.05.20
50448 [속보] '이재명 재판' 논란에 소집된 법관대표회의, 채택된 안건은 랭크뉴스 2025.05.20
50447 [마켓뷰] 외인 ‘팔자’ 전환에 2600선 겨우 지킨 코스피… 이차전지株 휘청 랭크뉴스 2025.05.20
50446 [속보]경찰, ‘시흥 살인사건’ 차철남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