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서 밝혀
폭스콘·대만 정부·TSMC 합작
타이베이 지사 사옥 부지 공개도
폭스콘·대만 정부·TSMC 합작
타이베이 지사 사옥 부지 공개도
“이것이 새 그레이스 블랙웰 GPU”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그레이스 블랙웰 NVL72 GPU’를 선보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대만에 첫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수도 타이베이에 들어설 엔비디아 해외지사 본부의 부지도 깜짝 공개했다.
황 CEO는 19일 대만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폭스콘과 대만 정부, TSMC와 함께 대만 최초의 대형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겠다”며 “이는 대만의 AI 인프라와 AI 생태계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컴퓨텍스는 아시아 최대 정보기술(IT) 전시회로 매년 대만에서 열린다.
AI 슈퍼컴퓨터는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블랙웰을 1만개 탑재한다.
TSMC는 이를 통해 AI 관련 연구·개발을 하고 엔비디아의 최신 칩을 제조한다. 대만 정부 산하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연구진·스타트업 등 대만 ‘기술 생태계’의 AI 개발과 도입을 도우며, 폭스콘은 AI 하드웨어를 조립한다.엔비디아는 ‘AI 팩토리’라고 불리는 이 시스템을 통해 대만 내 AI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고 본다.
황 CEO는 “TSMC는 이미 막대한 양의 과학 및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폭스콘은 로보틱스 분야에서 대규모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만에 세계적 수준의 AI 인프라를 갖춘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것은 교육, 과학, 기술 발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했다.
기조연설 말미에는 대만에 들어설 엔비디아 해외지사 본부의 부지도 공개됐다. 황 CEO는 거대 우주선이 우주를 떠돌다 타이베이에 안착하는 영상을 선보인 뒤 “새 사옥의 이름은 ‘엔비디아 컨스텔레이션’(별자리)이며 타이베이 북부 베이터우 지역에 지어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지역에는 첨단 산업체가 몰린 베이터우 스린 과학단지가 있다.
대만계 미국인인 황 CEO는 지난해 6월 컴퓨텍스 행사에서 대만에 실리콘밸리 본사에 맞먹는 규모의 해외지사 본부를 설립할 뜻을 밝힌 바 있다.
이곳에는 AI 칩, 양자 컴퓨팅 등 엔비디아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진을 비롯해 직원 수천명이 상주하며 대만의 AI 생태계를 한층 강화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