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년 전 '진고구려귀의후' 황금 인장
지난달 홍콩 경매서 낙찰돼 박물관 기증
"중원과 소수 민족 상호 작용 증거" 주장
"외교적 형식일 뿐 실제 국제정세와는 거리"
지난달 홍콩 경매서 낙찰돼 박물관 기증
"중원과 소수 민족 상호 작용 증거" 주장
"외교적 형식일 뿐 실제 국제정세와는 거리"
고구려 황금 인장 '진고구려귀의후'. 중국중앙방송 캡처
1,700여 년 전 고구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인장이 최근 중국 동북 지역 지린성의 박물관에 기증됐다. 중국은 관영 매체를 통해 "고구려가 고대 중국 영향권 아래 있었다"는 일방적 주장을 개진했다.
1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중국중앙(CC)TV 등에 따르면, 전날 지린성에서 열린 '2025 국제 박물관의 날' 행사에서 서진(西晉·265~315년)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인장이 지안시 박물관에 기증됐다.
도장면 2.4×2.3㎝에 전체 높이 2.8㎝(도장 높이 0.6㎝), 무게 약 88g인 이 유물에는 '진고구려귀의후(晉高句驪歸義侯)'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지난달 차이나가디언 홍콩 춘계 경매에서 기업인 진밍난 진더우그룹 회장 부부가 1,079만7,000홍콩달러(약 19억2,800만 원)에 낙찰받아 박물관에 기증했다.
중국은 '귀의후'라는 표현에 주목했다. 소수민족 지도자에 내리던 봉작 이름으로 고대 중국과 고구려 간 종속 관계의 증거라는 것이다. 신화통신은 "인장은 중원 왕조와 소수민족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귀중한 물리적 증거일 뿐만 아니라, 동북부 국경 역사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라고 주장했다. 고구려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는 '동북공정' 시도가 여전히 진행형인 셈이다.
이 같은 주장은 해당 인장의 진위 여부, 과학적 검증, 학계의 충분한 연구 없이 발표됐다. '귀의후'라는 표현 하나로 고구려의 대외관계를 규정하는 것 자체도 애당초 무리라는 지적이 제기된다.향후 한중 학계의 역사 해석 갈등을 더욱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지난 3월 한국고대사학회에 이 인장을 소개한 박대재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중국 일각에서는 인장의 존재를 고구려에 대한 진나라의 지배를 보여주는 실물 자료로 확대해석하지만, 책봉과 인장의 분급은 동아시아의 오래된 외교적 형식으로 실제 국제 정세와 상당한 거리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