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와 용산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재지정으로 반사효과를 본 곳은 서울 구로구·동대문구·서대문구, 경기도 광명 등으로 나타났다. 당초 서울 마포·성동·강동, 경기도 과천 등 비규제 인기 지역에서 풍선효과가 예상됐던 것과 다른 결과다. 서울 상급지 가격 급등 피로감과 대출규제 강화 영향으로 기타 지역을 대안으로 모색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가 1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토허제 확대 재지정 이후 서울 25개 구 중 서대문구의 거래량 감소가 가장 낮았다고 19일 밝혔다. 서대문은 지난 4월 거래량은 227건으로 3월(303건) 대비 –25.1%를 기록했다. 동대문(–28.4%), 구로(-31.5%) 관악(-33.1%)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같은 기간 서초(-97.7%) 용산(-92.0%) 강남(-91.7%) 송파구(-89.9%) 등 토허제 대상지는 물론, ‘풍선효과’가 예상됐던 성동(-55.3%) 마포(-49.5%), 광진(-49.0%)과도 큰 차이가 난다. 경기 지역도 비규제 인기 지역인 과천(-77.5%)보다 안양(-25.9%) 광명(-40.8%) 등에서 비교적 거래량 감소 폭이 낮았다.
서울 구로·동대문·노원구 등은 기존의 보합·내림세를 뒤집는 유의미한 가격 상승세를 보여주기도 했다. 구로구는 토허제 해제 기간(2월 10일~3월 24일) 0.02% 상승했으나, 토허제 재지정 후(3월 31일~5월 12일) 0.26%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 폭(0.24% 포인트)을 기록했다. 동대문구는 토허제 재지정 이후 상승 전환(-0.04→0.17%)했고, 노원구는 하락 폭(-0.11%→-0.01%)을 대폭 줄였다.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 연구원은 “인기 선호 주요 지역은 단기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 누적으로 일부 소강상태를 보이지만 반면, 그동안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이 더디고 대출받기 쉬운 지역들로 가격 상승 흐름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서울 인기 지역의 가격 부담감, 대출규제 강화 등 구매력이 약화함에 따라 기타 지역을 대안으로 모색하는 실수요자들의 움직임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