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집권하면 곧바로 추경", 김문수 "소상공인 채무 조정"
김문수·이준석의 이재명 협공...권영국은 金 반탄 전력 파고들어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뉴시스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대선 후보가 18일 처음으로 얼굴을 맞댔다. 2시간 동안 진행된 TV 토론에서 이들은 미국의 통상 압력에 맞선 해법을 놓고 입장차가 선명했다. 민생 경제 회복방안도 확장 재정과 기업 살리기로 팽팽하게 갈렸다. 다만 다수 후보는 국가 경쟁력 강화 대책으로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꼽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은 차기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협상 전략은 엇갈렸다. 이 후보는 “미국도 요구가 많겠지만 (현재 제시하는 관세율 목표를) 관철하겠다는 것은 아닐 것”이라며 “맨 먼저 서둘러서 협상을 조기 타결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반면 김 후보는 통상 문제를 주한미군, 대중관계 등 외교안보 사안과 연계하겠다며 “한미의 신뢰를 바탕으로 7월 8일 관세 유예기한이 종료되기 전에 성공적으로 (협상을) 끝내겠다”고 속도전을 강조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한미 양국이 단순한 교역국이 아니라 우방국이라는 인식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약탈적 침략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집권하면 곧바로 추경", 김문수 "소상공인 채무 조정"



민생 경제 활성화 대책도 판이했다. 이재명 후보는 “(집권하면) 곧바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가경정(추경) 예산을 편성해서 서민 경기와 내수 경기를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확장적 재정 정책을 약속했다. 반면 민주당의 '돈 풀기'를 비판해온 김문수 후보는 “소비 진작을 위해 활발하게 많은 지원을 하겠다"면서도 “소상공인의 채무를 조정하고 금융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금융 대책에 초점을 맞췄다. 이준석 후보는 “지역 경제 현실에 맞게 최저임금을 자율조정할 수 있도록 해서 자영업자의 숨통부터 틔우겠다”고 강조했고, 권영국 후보는 “부자 증세를 통해 일하는 사람들에게 정당한 대가와 사회 안전망을 제공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재명 김문수 권영국 입 모아 AI 강조



국가경쟁력 강화 전략을 놓고 이재명 김문수 권영국 후보는 AI 산업 육성을 강조했다. 이에 더해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 투자, 문화 산업 육성을 제시했다. 김문수 후보는 규제 완화를 위한 규제혁신처 설립과 원전 산업 생태계 복원을 주장했다. 이준석 후보는 역시 “타국과의 규제 격차를 없애고 에너지 정책도 대폭 수정해야 한다”며 규제 완화를 해법으로 냈다. 반면 권영국 후보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평등을 없애겠다”며 입장이 달랐다.

김문수·이준석의 이재명 협공...권영국은 金 반탄 전력 파고들어



토론에서 김문수 이준석 후보의 이재명 후보를 향한 협공이 두드러졌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불법 대북송금 혐의 재판을 거론하며 “이런 상태에서 어떻게 경제를 살릴 수 있겠느냐”고 공세를 폈다. 그러자 이재명 후보는 "억지 기소"라고 반박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 후보의 '대책 없는 돈풀기', '친중국 편향' 등을 꼬집었지만 이 후보는 "극단적 주장"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이와 달리 권 후보는 "윤석열씨가 내란 우두머리라는 사실을 인정하느냐"고 김 후보를 몰아세웠다. 이에 김 후보는 “계엄은 잘못됐고 내가 알았다면 당연히 말렸을 것”이라면서도 “내란(이라는 주장은)은 지금 재판 중”이라며 굽히지 않았다.

2차 토론은 23일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방안, 3차 토론은 27일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을 주제로 진행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597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1조700억원 들여 2037년까지 끝낸다 랭크뉴스 2025.06.26
52596 "지하로 가겠다" vs "몰래출석 불가"…특검·尹 기싸움 파열음 랭크뉴스 2025.06.26
52595 서귀포 유명 시장서 노인들이 던진 것은?…곡괭이로 행인 때리기도 랭크뉴스 2025.06.26
52594 [단독] 윤석열 ‘출석 협상’…“지하 출입만 되면 적극 조사 협조” 랭크뉴스 2025.06.26
52593 5개월 만에 간염으로 군면제? 주진우 '병역의혹' 후폭풍 랭크뉴스 2025.06.26
52592 상속소송 3000건 돌파…10건중 8건은 '1억 이하 분쟁' 랭크뉴스 2025.06.26
52591 아오이 소라 “AV 배우는 매춘부 아냐”… 주학년 논란에 소신 발언 랭크뉴스 2025.06.26
52590 [속보] 고리 1호기 해체 결정…국내 원전가동 47년 만에 최초 랭크뉴스 2025.06.26
52589 [단독] 새 정부 출범 후 민간 北접촉 모두 승인 랭크뉴스 2025.06.26
52588 이주희 변호사, 3수 끝 국회 입성…임광현 의원직 승계 랭크뉴스 2025.06.26
52587 국내 원전 첫 해체 시작된다…원안위,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팩플] 랭크뉴스 2025.06.26
52586 ‘국내 첫 상업 원전’ 고리 1호기 역사 속으로…영구 정지 8년 만에 ‘해체’ 승인 랭크뉴스 2025.06.26
52585 특검 "尹 지하로 출석 요구 수용불가…전직 대통령 전례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6.26
52584 “왜 킥보드 위험하게 타냐”···초등학생 경찰서 데려간 50대 벌금형 랭크뉴스 2025.06.26
52583 내란 특검 “전직 대통령 다 현관으로 출입···지하주차장은 전례 없어”[일문일답] 랭크뉴스 2025.06.26
52582 대법 “‘최순실 은닉재산 수조원대’ 안민석 발언 일부 명예훼손” 랭크뉴스 2025.06.26
52581 [팩플] 국내 원전 첫 해체 시작된다…원안위,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랭크뉴스 2025.06.26
52580 이종석 국정원장 첫 국회 출석…“북한군 이르면 7~8월 러시아 추가 파병” 랭크뉴스 2025.06.26
52579 고리 1호기 국내 첫 원전 해체 랭크뉴스 2025.06.26
52578 하늘에서 떨어진 파편 수백만개···스페이스X 우주선 발사 실험에 고통받는 멕시코 주민들 랭크뉴스 2025.06.2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