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집권하면 곧바로 추경", 김문수 "소상공인 채무 조정"
김문수·이준석의 이재명 협공...권영국은 金 반탄 전력 파고들어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뉴시스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대선 후보가 18일 처음으로 얼굴을 맞댔다. 2시간 동안 진행된 TV 토론에서 이들은 미국의 통상 압력에 맞선 해법을 놓고 입장차가 선명했다. 민생 경제 회복방안도 확장 재정과 기업 살리기로 팽팽하게 갈렸다. 다만 다수 후보는 국가 경쟁력 강화 대책으로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꼽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은 차기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협상 전략은 엇갈렸다. 이 후보는 “미국도 요구가 많겠지만 (현재 제시하는 관세율 목표를) 관철하겠다는 것은 아닐 것”이라며 “맨 먼저 서둘러서 협상을 조기 타결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반면 김 후보는 통상 문제를 주한미군, 대중관계 등 외교안보 사안과 연계하겠다며 “한미의 신뢰를 바탕으로 7월 8일 관세 유예기한이 종료되기 전에 성공적으로 (협상을) 끝내겠다”고 속도전을 강조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한미 양국이 단순한 교역국이 아니라 우방국이라는 인식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약탈적 침략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집권하면 곧바로 추경", 김문수 "소상공인 채무 조정"



민생 경제 활성화 대책도 판이했다. 이재명 후보는 “(집권하면) 곧바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가경정(추경) 예산을 편성해서 서민 경기와 내수 경기를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확장적 재정 정책을 약속했다. 반면 민주당의 '돈 풀기'를 비판해온 김문수 후보는 “소비 진작을 위해 활발하게 많은 지원을 하겠다"면서도 “소상공인의 채무를 조정하고 금융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금융 대책에 초점을 맞췄다. 이준석 후보는 “지역 경제 현실에 맞게 최저임금을 자율조정할 수 있도록 해서 자영업자의 숨통부터 틔우겠다”고 강조했고, 권영국 후보는 “부자 증세를 통해 일하는 사람들에게 정당한 대가와 사회 안전망을 제공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재명 김문수 권영국 입 모아 AI 강조



국가경쟁력 강화 전략을 놓고 이재명 김문수 권영국 후보는 AI 산업 육성을 강조했다. 이에 더해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 투자, 문화 산업 육성을 제시했다. 김문수 후보는 규제 완화를 위한 규제혁신처 설립과 원전 산업 생태계 복원을 주장했다. 이준석 후보는 역시 “타국과의 규제 격차를 없애고 에너지 정책도 대폭 수정해야 한다”며 규제 완화를 해법으로 냈다. 반면 권영국 후보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평등을 없애겠다”며 입장이 달랐다.

김문수·이준석의 이재명 협공...권영국은 金 반탄 전력 파고들어



토론에서 김문수 이준석 후보의 이재명 후보를 향한 협공이 두드러졌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불법 대북송금 혐의 재판을 거론하며 “이런 상태에서 어떻게 경제를 살릴 수 있겠느냐”고 공세를 폈다. 그러자 이재명 후보는 "억지 기소"라고 반박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 후보의 '대책 없는 돈풀기', '친중국 편향' 등을 꼬집었지만 이 후보는 "극단적 주장"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이와 달리 권 후보는 "윤석열씨가 내란 우두머리라는 사실을 인정하느냐"고 김 후보를 몰아세웠다. 이에 김 후보는 “계엄은 잘못됐고 내가 알았다면 당연히 말렸을 것”이라면서도 “내란(이라는 주장은)은 지금 재판 중”이라며 굽히지 않았다.

2차 토론은 23일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방안, 3차 토론은 27일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을 주제로 진행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826 이재명, 50.2%로 지지율 1위 굳건[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25 82세 바이든, 퇴임 4개월 만에 전립선암 …“뼈로 전이”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24 [단독] 현대로템-명태균에 로비, 윤석열 창원공장 방문…한 달 만에 이뤄졌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23 '2030 여성' 20% "후보 못 정해"… 대선 압승과 추격 가를 공략 포인트 [한국일보 여론조사]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22 치사율 75%에 백신도 없는 ‘이 병’…1급 감염병 지정된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21 불확실성 위에 쌓인 랠리…다시 트럼프 리딩방 [관세전쟁 임시휴전③]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20 이재명 50.2%로 선두 유지…김문수 35.6% 이준석 8.7%[리얼미터](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9 [K패션뷰티 뉴리더]⑨ 한국의 ‘진짜’ 20대가 입는 옷, 세계인 열광… K패션 강자 마뗑킴 성공비결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8 이재명 50.2%, 김문수 35.6%, 이준석 8.7%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7 정부 "美 신용등급 하락, 예상된 조치…영향 제한적"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6 “엄마, 폰 바꿨어?”…식당 사장, 휴대전화 판매점에 분노한 사연 [잇슈#태그]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5 SPC삼립 시흥 제빵공장서 50대 노동자 작업 중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4 SPC삼립 시흥 제빵공장서 50대 근로자 사망…윤활유 작업중 사고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3 트럼프, ‘정적’ 바이든 전립선암 진단에 “슬픈 소식…쾌유 기원”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2 동탄호수공원서 ‘흉기 난동’ 40대 중국교포 체포…“다친 사람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1 산모를 죽게 한 의사의 손, 사회를 병들게 한 권력자의 손[EDITOR's LETTER]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10 "유병언은 아직 살아있다"…오장육부 사라진 시신의 진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09 尹, 두번째 포토라인 선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 4차 공판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08 이재명 50.2 김문수 35.6 이준석 8.7%…"지지 안바꾼다" 82%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07 [르포] 베트남 바다에 심은 SK의 바람…재생에너지 사업 확장 속도 new 랭크뉴스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