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현수 정치부 기자

신념 따라 국힘 입당했는데
‘기득권 진영 정치’에 탈당
민주당선 소신 지킬지 궁금

김상욱 의원은 지난 1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그가 지난 8일 국민의힘을 탈당한 지 일주일 만이었다. 지지선언 이튿날 이 후보의 전북 익산 유세현장을 찾은 김 의원은 이 후보를 꼭 끌어안으며 “참된 보수주의자이면서도 참된 진보주의자”라고 치켜세웠다. 그는 18일 민주당으로 당적을 바꿨다. 국민의힘 탈당→이재명 지지선언→민주당 입당까지 열흘간 그의 행적은 12·3 비상계엄으로 열리게 된 이번 대선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으로 언론에 기록됐다.

자신의 정체성을 ‘보수주의 정치인’으로 규정하는 김 의원의 당적 변경은 계엄 사태 이후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기도 했다. 국민의힘 내에서 늘 어디로 튈지 모르는 ‘금쪽이’ 취급을 받았지만, 그는 나름의 신념을 갖고 당의 쇄신을 주장했다. 계엄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절연 없이 국민의힘은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생각이었다.

이 후보 지지를 선언한 날 오후 국회 소통관 커피숍에서 만난 김 의원은 “계엄 사태를 겪으면서 모든 것이 달라졌다. 민주주의를 정면으로 파괴하는 장면, 그리고 그 이후에 법치를 부정하는 장면까지. 기득권을 지키는 데만 매몰된 국민의힘은 더 이상 보수정당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그의 소신 있는 발언을 포용하기보다는 밀어내는 데 급급했다. ‘배신자’ 딱지 붙은 김 의원은 울산시당위원장 자리를 반납했고, 국회 상임위원회 보직도 바꿔야 했다. 그를 타일러 보려 했던 한 중진의원은 그가 말하는 보수주의 신념이 너무 이상적이라 탓하며 “현실 정치에서는 국민의힘이 하는 일이 보수이며, 국민의힘이 하지 않는 일이 진보”라고 충고했다고 한다. 입바른 소리만 할 것이 아니라 소속된 당이 정한 길을 따를 줄도 알아야 한다는 말이었을 텐데, 김 의원은 “그러겠다”고 답하지 못했다.

김 의원은 “애초 국민의힘을 택한 이유는 보수를 표방했기 때문인데, 돌이켜 보니 사기를 당한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이제 국민의힘에는 끊임없이 외부의 적과 내부의 ‘배신자’를 만들어내며 기득권을 지켜내려는 진영정치만 남았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초짜 정치인’이 제기한 문제에서 여전히 허우적대고 있다. 계엄으로 파면된 윤 전 대통령과 멀어져야 그나마 대선에서 승산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윤심(尹心)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대선 주자로 선출했다. 뒤늦게 윤심과의 절연을 얘기하다가도 막상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하자 떨어져 나갈 표가 얼마나 될지 전전긍긍한다. 단일화나 ‘빅텐트’는 고사하고, 계엄과 탄핵의 강도 건너지 못한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의 이런 주장을 ‘기회주의’ ‘어설픈 자기정치’라고 폄하하기 바쁘지만, 그의 진정성을 평가하기에는 이르다. 그에 대한 온전한 평가는 김 의원이 국민의힘에 들이댔던 그 잣대를 민주당에서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지에 달려 있을 것이다.

김 의원이 국민의힘을 손절한 이유로 삼았던 진영정치와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맹목적인 충성경쟁 등은 민주당에서도 데칼코마니처럼 벌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을 오늘날 이 수렁에 빠뜨린 ‘윤심 충성경쟁’은 민주당에선 ‘이재명 일극체제’란 이름으로 펼쳐지고 있고, 계엄을 ‘계몽’이라 부르는 보수진영의 맹목적인 지지층은 진보진영에선 ‘개딸’이라는 조직으로 치환돼 있다. 이 후보 공직선거법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유죄취지 판결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 특검, 공직선거법 개정, 대법원 증원까지 내걸고 민주당은 사법부 공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김 의원은 민주당에서도 소신을 지켜나갈 수 있을 것인가. 김 의원이 계속 주류와 불화하길 기대하며 입당 전 그가 했던 고심의 한 자락을 옮겨 본다.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거대 집권 여당이 탄생하고, 권력 집중에 따른 충성경쟁이 일어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어떤 영민한 지도자라도 망가지는 것은 한순간이다. 이걸 어떻게 견제할 수 있을지가 요즘 제 고민의 핵심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801 이재명 50.2%로 과반 유지…김문수 35.6%·이준석 8.7%[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19
49800 "정책 경쟁은 실종"...신경전만 오간 대선주자 첫 토론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9 퓰리처상 탄 베트남전 소녀 사진, 사실은 현지인이 찍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8 루마니아 대선서 친 트럼프 후보 제치고 친 유럽 후보 승리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7 트럼프 “바이든 암 진단에 슬퍼하고 있어···쾌유 빈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6 외연확장에 발목잡힌 임종룡호, 우리금융 빅4 탈락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5 오늘, 커피가 가장 저렴한 날입니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4 100억 이상 보유한 비오너 ‘주식 부자’ 30명…1000억원 이상은 4명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3 미 재무장관 “선의로 협상하지 않으면 ‘이게 관세율이다’서한 받게 될 것” 경고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2 "명문대생 과외라 1200만원 입금했는데"…문자로 파산 통보한 업체,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1 역대 가장 삼엄한 대선 경호 [와글와글 플러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90 문화유산 밟는 운동화?…아디다스 드론 쇼에 그리스 발칵 [잇슈 SNS]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9 '월세 12만 원' 유학마을 만들었더니‥지역 활기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8 바이든 전립선암 진단에…트럼프 “슬픈 소식, 쾌유 바란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7 [단독] "올여름 '원피스 해적단'과 풀파티 즐겨요"…에버랜드와 첫 컬래버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6 [단독] 금감원 금융사고 단속 기간에도 하나은행 74억 부당대출 적발 못해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5 마이크로소프트가 25년 근속 직원을 내쫓은 이유 [잇슈#태그]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4 바이든, 퇴임 4개월 만에 전립선암 진단…트럼프 “슬프다, 쾌유빈다”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3 지귀연 재판장 향응 의혹 속 오늘 윤석열 내란 재판…“빨리 정리돼야” new 랭크뉴스 2025.05.19
49782 [최훈 칼럼] 왜 ‘그날’은 오지 않는지 답해야 할 6·3 대선 new 랭크뉴스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