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선 패배’ 우려 커지는 시점에 나온 결정
당내서도 ‘쇼’ 지적···“대선에 별 영향 없어”
장예찬 복당 등 ‘절연’ 미흡하다는 지적도
12·3 불법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에서 오전 공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문수에게 힘을 모아 달라”며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12·3 불법계엄에 대한 사과 없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를 촉구한 것을 두고 당내에서조차 “억지쇼” “사과 한 마디 없다”는 비판이 나왔다. 김 후보나 당 차원의 절연이 아니라는 점에서 대선에도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7일 페이스북에서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며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주장했다. 불법계엄 언급이나 사과는 없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선거는 전체주의 독재를 막고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힘을 모아달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대선 패배에 대한 당내 우려가 커지는 시점에서 나왔다. 특히 지난 16일 핵심 지지지역으로 꼽히는 대구·경북(TK)에서조차 김 후보 지지율이 50%에 미치지 못한 것이 중요한 위기 신호로 해석됐다. 한국갤럽이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TK에서 김 후보 지지율은 48%에 그쳤다. 지난 대선 TK에서 윤 전 대통령 득표율은 73.9%였다.

윤 전 대통령 탈당을 두고 당내에서도 정치공학적 ‘쇼’로 비칠 수 있어 대선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 의원은 이날 기자와 통화하면서 “윤 전 대통령 탈당이 대선에 폭발적인 힘이 있지는 않을 것 같다”며 “윤 전 대통령이 엄청난 결단, 희생을 한 것처럼 했는데 그냥 떠밀려서 한 것이고 당이 절연한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한 원외 당협위원장은 “탈당 논란을 지지부진하게 끌고 오다보니 전혀 전격적이지도 않고 의외도 아니지 않나”라며 “대선에 별 영향도 없고 억지쇼에 가깝다”고 말했다.

늦은 탈당 시점, 사과 없는 당당한 태도 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류제화 세종갑 당협위원장은 지난 17일 페이스북에서 “‘이기고 돌아왔다’는 식의 위풍당당한 탈당”이라며 “계엄으로 인해 치르게 된 계엄대선을 코앞에 두고 이뤄진 뒤늦은 탈당”이라고 적었다. 그는 “국민과 당원에 대한 사과 한 마디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가 주도적으로 나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한 것이 아니라는 점도 이런 당내 비판을 키우고 있다. 김 후보는 그간 탈당은 윤 전 대통령 결단에 맡겨야 한다며 탈당을 압박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주장해 왔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탈당 선언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 뜻을 저는 존중한다”며 “그 뜻을 받아들여서 당이 더 단합하고 더 혁신해 국민의 뜻에 맞는 당이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탈당과 관련한 당의 사전 조율은 없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당이 친윤석열계 장예찬 전 최고위원에 대한 복당을 승인하고, ‘윤어게인’ 신당을 추진했던 김계리 변호사가 입당을 신청한 것이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라는 주장도 나온다.

친윤계에서는 윤 전 대통령 탈당을 ‘희생’ ‘결단’으로 띄우며 옹호를 이어갔다. 한 친윤계 당협위원장은 기자와 통화하면서 “(탈당은) 대통령의 희생”이라고 말했다. 장 전 최고위원은 “대선 승리를 위해 당적까지 내려놓은 윤석열 대통령”이라며 “누가 더 당을 사랑하는지 자명하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하더라도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처럼 당의 원로로 예우 받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이 전 대통령은 2017년 1월 박 전 대통령 탄핵국면 당시 탈당했고, 박 전 대통령은 자유한국당 시절인 2017년 11월 제명 조치됐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이후 주요 정치적 국면마다 두 전직 대통령을 당의 원로로 예우하고 있다.

앞선 여론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6.4%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고하면 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17 시신 200구 이상 남았다는데 인기 여전… '입장료' 2100만 원 된 세계 최고봉 랭크뉴스 2025.05.19
49716 '손흥민 협박녀' 인권 논란?…경찰 "구속 피의자 복장은 자율" 랭크뉴스 2025.05.19
49715 개헌이슈 선점당한 김문수 “즉각 개헌협약 체결” 이재명 압박 랭크뉴스 2025.05.19
49714 텔레그램CEO "서유럽국가, 루마니아 보수여론 약화 요청"(종합) 랭크뉴스 2025.05.19
49713 "친중·돈풀기 괴짜경제" 협공…"극단적 왜곡, 국힘 출신 특성" 역공 랭크뉴스 2025.05.19
49712 첫 토론회 마친 이재명 "더 연구"…김문수·이준석 "李 아쉬워" 랭크뉴스 2025.05.19
49711 레오 14세, 즉위 미사서 “하나 된 교회가 세상의 평화 위한 힘이 되길” 랭크뉴스 2025.05.19
49710 "어디서 봤는데" 매의 눈썰미…아들 안고 추격전 벌인 경찰 아빠 랭크뉴스 2025.05.19
49709 美재무 "선의로 협상 않는 나라, 다시 높은 관세 적용될 것" 랭크뉴스 2025.05.19
49708 [사설] 국힘 ‘尹 무늬만 탈당’ 비판 안 나오게 실질적 절연 나설 때다 랭크뉴스 2025.05.19
49707 이스라엘, 휴전 협상 중 가자 맹폭…“광범위한 지상작전 개시” 랭크뉴스 2025.05.19
49706 소말리아 수도 신병모집소서 자폭테러…13명 사망 랭크뉴스 2025.05.19
49705 무디스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더 불안해진 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5.19
49704 이 “마이너스 성장 정부 장관” 김 “탄핵 때문에 일 할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5.19
49703 美 난임클리닉 테러 '反출생주의' 이념이 동기 추정 랭크뉴스 2025.05.19
49702 이재명 “내란 심판 선거 맞다” 김문수 “내란 여부 재판 중” 랭크뉴스 2025.05.19
49701 2050년 태어나는 아기, 1인당 8600만원 나랏빚 떠안나 랭크뉴스 2025.05.19
49700 “치킨값 오르나”…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중단에 치킨업계 비상 랭크뉴스 2025.05.19
49699 이용기 대전시의원 차량서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5.19
49698 전북 익산서 모녀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