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피고인으로 칭하겠습니다" (1차 공판기일, 검찰 공소사실 발표)

검찰총장, 그리고 대통령까지 지낸 윤석열 전 대통령이 법정에서 들었던 말입니다.

위헌·위법한 비상계엄 선포로 대통령에서 파면되고,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법정에 선 '피고인' 윤 전 대통령의 재판을 따라가 봅니다.

"빨리 국회 문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을 끄집어내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이 지시를 들은 사람,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말고 또 있습니다.

바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의 부관인 오상배 대위입니다.

오 대위는 지난해 12월 3일 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지시를 받은 이 전 사령관과 함께 있던 인물입니다.

윤 전 대통령의 세 번째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오 대위는 그날 밤 이루어진 네 차례의 통화에 대해 상세히 증언했습니다.

■오 대위 "윤 전 대통령 책임질 줄 알았는데…배신감 느껴"

오 대위가 처음부터 수화기 너머로 들은 통화에 대해 진술한 건 아닙니다.

지난해 12월 18일 이루어진 첫 번째 군검찰 조사에서, 그는 '진술할 마음이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틀 만에 마음을 바꿨습니다. 검찰이 그 이유를 묻자, 이 기자회견을 언급했습니다.

"대통령이 체포의 '체' 자도 얘기한 적도 없을 뿐만 아니라, 체포하면 도대체 어디에다가 데려다 놓겠다는 것입니까."
-윤 전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 지난해 12월 19일-

오 대위는 "(윤 전 대통령이) 법리적으로 옳은 일을 했다고 생각했고, 책임을 다 지실 거라고 생각했는데 변호인단의 기자회견을 보고 제가 아는 사실과 다르게 말해서 진실을 밝히는 데 도움이 돼야겠다고 생각했다"고 했습니다.

변호인단이 '체포의 '체'자도 꺼내지 않았다'고 했을 때 어떤 생각을 했냐는 질문에는 "생각과 많이 달라 당황했고, 배신감 같은 걸 느꼈다"고 답했습니다.

그날 밤 오 대위가 들은 통화 내용은 석 변호사의 말과 얼마나 달랐을까요?

■'총 쏴서라도 들어가' 지시에…"'이건 진짜 아니다' 생각"

오 대위는 지난해 12월 3일 밤 국회 근처에서 이 전 사령관과 차에서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이 전 사령관의 비화폰에 '대통령님'이라는 글자가 떴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 중이던 이 전 사령관에게 전화를 넘겼다는 게 오 대위 설명입니다.

스피커폰으로 통화한 건 아니었지만 "매체를 통해 들리는 목소리와 같아서 (윤 전 대통령인 걸) 알아들었다"고 했습니다.


오 대위의 법정 증언으로 본 당시 상황입니다.

첫 번째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은 이 전 사령관에게 국회 앞 상황이 어떤지 물었고, 이 전 사령관은 '국회 문이 모두 막혀 있어 담을 넘어 들어가라 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어진 두 번째 통화에서 이 전 사령관은 다시 한번 '국회 본관에 병력이 진입하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오 대위는 이때 윤 전 대통령이 "네 명이 한 명씩 들쳐업고 나오라는 취지로 지시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지시를 명확히 기억하는 이유에 대해선 "병력이 들어가서 본회의장 안에 있는 사람을 가마 태워 나오는 이미지로 연상됐다"고 했습니다. 듣는 순간 지시의 내용이 머릿속에 그림처럼 그려졌단 겁니다.

오 대위는 이 말을 듣고 "그럴 수 있나? 생각했다"며 "(윤 전 대통령이) 법률가니까 법리적으로 가능한가보다 생각했다"고 했습니다.


오 대위는 세 번째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이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는 취지로 말씀하신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습니다.

이번에는 "총을 허공에 '팡팡' 쏴서 사람들이 겁에 질려있을 때 문을 부수고 들어가는 장면이 연상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두 번째 통화 때까지만 해도 '가능한가보다' 싶었다던 오 대위는, 여기까지 듣고는 "'이건 진짜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계엄 해제 의결안이 통과 된 이후 이루어진 마지막 통화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결의안이 통과됐다고 해도 두 번, 세 번 계엄 하면 된다'는 취지로 이야기했다"고 기억했습니다.

'내가 (계엄을) 선포하기 전에 병력을 미리 움직여야 한다고 했는데, 다들 반대를 해서 일이 뜻대로 안 풀렸다'는 한탄 섞인 말도 덧붙였다고 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측 "통화 당사자보다 자세히 기억…이례적인 일"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반대신문에서 오 대위 진술에 신빙성이 없단 점을 강조했습니다.

변호인단은 이 전 사령관의 비화폰 수발신 내역을 제시하면서,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전화가 온 기록 자체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곽종근 전 사령관의 경우, 윤 전 대통령이 전화했을 때 화면에 '대통령님'이 아닌 알파벳과 숫자가 조합된 번호가 떴다며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오 대위는 "정확히 네 글자가 맞다"고 답했습니다.

통화 당사자인 이 전 사령관보다 오 대위가 전화 내용을 더 구체적으로 기억하는 게 "아주 이례적인 일"이라고 하자, 오 대위는 "중위가 대통령의 통화를 듣는 것도 아주 이례적인 일"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당시 차 안에서 "(TV) 방송을 틀어놓고 수시로 전화가 울리는 상황인데 목소리를 다 듣는다는 게 가능하냐"고 변호인단이 압박하자 "가능하기 때문에 진술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직접 통화를 한 이 전 사령관의 기억은 어떨까요.

이 전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문을 부수라'는 말을 한 것과, '총'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기억이 난다"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에 나와서는 "답변이 제한된다"며 대부분의 질문에 말을 아꼈습니다.

■헌재는 인정한 오 대위 진술…법원 판단은?

이진우가 피청구인과 통화하는 동안 같은 차량의 앞좌석에 앉아 있던 이진우의 전속부관이 통화 내용 대부분을 들을 수 있었던 점 (중략) 피청구인의 위 지시가 없었더라면 이진우가 갑자기 조성현에게 건물 ‘내부’로 진입하여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할 이유가 없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피청구인의 위 주장은 믿기 어렵다. -헌재 결정문 -

앞서 헌법재판소는 이 전 사령관에게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한 적이 없다는 윤 전 대통령의 주장을 배척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없었다면, 이 전 사령관이 갑자기 조성현 수방사 제1경비단장에게 전화를 걸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할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연관 기사] 계엄군 지휘관 “지시가 이상하다, 물러서라” [피고인 윤석열]②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232402

앞자리에서 통화 내용을 모두 들은 오 대위의 진술에도 신빙성이 있다고 봤습니다.

3차 공판 두 번째 증인으로 소환된 박정환 육군 특수전사령관 참모장에 대한 신문은 오 대위의 신문이 길어지면서 40여 분 만에 중단됐습니다.

박 참모장에 대한 증인신문은 내일(19일) 4차 공판에서 이어서 진행됩니다.

[그래픽 권세라 조은수]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38 [김문수 포스터 몰아보기] 29년 전 ‘노동 투사’, 2010년 ‘보수 전사’ 랭크뉴스 2025.05.18
49437 한동훈, 20일부터 ‘김문수 지원 유세’… 부산·대구 등 ‘영남권 벨트’ 공략 랭크뉴스 2025.05.18
49436 이재명 "대통령 4년 연임제 하자, 개헌 당시 대통령엔 미적용" 랭크뉴스 2025.05.18
49435 이재명 "재임 대통령엔 연임제 적용 안 돼…임기단축 신중해야" 랭크뉴스 2025.05.18
49434 해킹 사고 한 달 SKT, ‘고객신뢰 위원회’ 출범···내일부턴 도서·벽지 직접 간다 랭크뉴스 2025.05.18
49433 안창호 인권위원장, 광주시민 항의에 5·18기념식장서 쫓겨나 랭크뉴스 2025.05.18
49432 ‘윤석열 방어권’ 안창호 인권위원장, 광주 시민 반발에 5·18 기념식 참석 못해 랭크뉴스 2025.05.18
49431 층간소음 항의에 “불 지르겠다” 난동 60대 실형 랭크뉴스 2025.05.18
49430 '건보 자격취득' 내국인 3만명 줄 동안 베트남 6만·中 3만명↑(종합) 랭크뉴스 2025.05.18
49429 [르포] 중국산 국화부터 미국산 밀까지 정밀 검사… 수입농산물 ‘검역 관문’ 인천항 가보니 랭크뉴스 2025.05.18
49428 김상욱, 민주당 입당…“바닥부터 배우며 국민 받들겠다” 랭크뉴스 2025.05.18
49427 식사 전 “꼭 먹고 싶습니다” 복창시킨 부장…법원 “면직 정당” 랭크뉴스 2025.05.18
49426 ‘4년 연임제’ 띄운 李 “재임 대통령엔 적용 안 돼” 랭크뉴스 2025.05.18
49425 '폭탄' 주고받던 미·중, 관세 '파격 딜' 나선 배경은?[관세전쟁 임시휴전②] 랭크뉴스 2025.05.18
49424 예산군, 더본코리아 ‘미인증 조리기구’ 추가 고발···협력사도 줄줄이 행정처분 랭크뉴스 2025.05.18
49423 ‘텍스트힙’ 다음은 ‘클래식힙’...클래식 티켓 판매액 1000억 돌파 랭크뉴스 2025.05.18
49422 김문수 "경제 판갈이 해내겠다"…규제혁신처 신설 공약(종합) 랭크뉴스 2025.05.18
49421 이재명 "대통령 4년 연임제로 개헌…총리는 국회서 추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18
49420 시민들 항의에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 5·18 기념식 참석 불발 랭크뉴스 2025.05.18
49419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 이틀째…“진화율 80%, 내일 완진 목표”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