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등 6명은 출당, MB는 퇴임 후 탈당

윤석열 전 대통령이 17일 국민의힘을 탈당한 가운데, 전·현직 대통령의 탈당사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1987년 대통령 5년 단임제를 실시한 이후 역대 대통령 8명 중 6명은 임기 중 탈당했다.

대부분은 임기 말 국정 지지율이 떨어지고 측근 관련 의혹이 불거지며 소속 정당을 떠났다. 퇴임 후 탈당한 이명박 전 대통령까지 제외하면, 문재인 전 대통령만이 온전히 당적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4월 서울 종로구 청와대 본관에서 관람객들이 역대 대통령들의 초상화를 구경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 탈당사의 시작은 노태우 전 대통령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1992년 9월 18일 민자당 명예총재직을 내려놨다. 차기 대선을 석 달 앞둔 시기였다. 당시 민자당 대선 후보였던 김영삼 전 대통령과의 갈등이 계기가 됐다는 분석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 역시 차기 대선 직전인 1997년 11월 7일, 대선 주자와의 갈등으로 신한국당을 떠났다. 당시 국제통화기금(IMF) 금융위기 사태로 지지율이 곤두박질쳤고, 아들 현철씨가 ‘한보 게이트’에 연루돼 구속되면서 당에서 탈당 압력이 거셌다. 차기 대선 후보였던 이회장 전 총재가 직접 김 전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최규선 게이트’와 세 아들의 비리 의혹이 불거지며 당에 부담이 커지자 2002년 새천년민주당 당적을 포기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재임 중 두 번 탈당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참여정부 첫해인 2003년 9월 열린우리당 창당 사태 때 새천년민주당을 떠나 열린우리당에 입당했다.

그러다 임기를 1년여 앞둔 2007년 2월 28일 지지도 추락이 대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여권의 공세를 받으며 열린우리당에서도 탈당했다.

탄핵으로 파면된 박근혜(왼쪽) 전 대통령과 윤석열 전 대통령. /연합뉴스

이 전 대통령은 옛 친이(친이명박)계 의원들이 대거 새누리당을 떠난 2017년 1월 정치색을 없앤다는 차원에서 당적을 정리했다. 당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따른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이 진행 중이었다.

박 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중 탈당이 아닌 출당 조치로 당적을 정리한 첫 사례다. 자유한국당 윤리위원회는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지자 2017년 10월 20일 강제출당 조치를 내렸다.

윤 전 대통령도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을 받았지만, 자진 탈당으로 박 전 대통령과는 다른 길을 걸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가 위헌이라는 이유로 탄핵 소추됐고, 지난달 파면됐다.

윤 전 대통령은 2021년 3월 검찰총장에서 물러나고 같은 해 7월 대선을 위해 국민의힘에 입당한 지 약 3년 10개월 만에 당을 떠나게 됐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39 송파·서초 매물 석 달 만에 30% 줄어… “갈아타기·외지인 수요 몰려”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8 음주운전하다 다른 차량 추돌한 교도소 대체복무요원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7 대통령 이재명·총리 홍준표…밑질 것 없는 ‘브로맨스’[송종호의 여쏙야쏙]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6 '건보 자격 취득' 내국인 3만여명 줄 동안 중국인 2만7천명 늘어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5 이재명 "호남은 죽비‥광주, AI 중심도시로"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4 “회장님 나가시니 확 달라졌다”...남양유업의 ‘부활’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3 대선후보 첫 TV 토론…후보 4명 경제 공약 검증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2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이 시각 진화 상황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1 차기 대통령, 취임 직후 참석할 軍행사?…다산정약용함·이봉창함 진수식·해군국제관함식[이현호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30 그래서 장애 아동 교육이 나아졌을까…‘주호민·특수교사’ 논란이 남긴 것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9 “준비된 대통령” “사람이 먼저다”… 잘 만든 슬로건 하나, 열 전략 안 부럽다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8 "한 채 가격이 '250억'"…지드래곤·BTS 사는 '이 아파트' 올해 최고가 찍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7 김혜경 vs 설난영 ‘퍼스트레이디 경쟁’…대선판 바꾸는 배우자의 품격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6 [작은영웅] 소방차 오기도 전에 대피 완료…어린이집 선생님들의 발 빠른 대응 (영상)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5 대선 대진표 확정…여론 주목도도 '1강·1중·1약'[데이터로 본 정치민심]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4 이재명 “서울대 10개 만들기” 김문수 “서울대·지방대 공동학위 수여” 이준석 “공교육 강화”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3 이어령 “6살이었어, 눈물 핑 돌았어”…암선고에 떠올린 그날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2 홍원식 ‘셀프보수 승인’ 위법 판결 이후…주총 방식 달라진다 [허란의 판례 읽기]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1 김문수, 尹탈당에 이재명 추격전 총력…지지층 재결집 도모 new 랭크뉴스 2025.05.18
49320 AI로 무장한 전투로봇, 아군일까 적군일까[산업이지] new 랭크뉴스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