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알리 봉고 온딤바 전 가봉 대통령. AFP=연합뉴스
2023년 쿠데타(군사정변)로 축출된 알리 봉고 온딤바 전 가봉 대통령(66)과 그의 가족이 석방돼 앙골라로 망명했다고 앙골라 대통령실이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앙골라 대통령실은 이날 공식 페이스북 계정에 봉고 전 대통령이 아내 실비아(62), 아들 누르딘(33)과 함께 수도 루안다 공항에 도착해 환영받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앙골라 수도 루안다 도착한 알리 봉고 온딤바(왼쪽에서 3번째) 전 가봉 대통령. AFP=연합뉴스

AP·AFP 통신에 따르면 봉고 가족의 석방과 망명은 주앙 로렌수 앙골라 대통령과 브리스 올리귀 응게마 가봉 대통령 간의 합의에 따라 이뤄졌다.

축출 이후 봉고 전 대통령은 수도 리브르빌에서 가택연금 중이었고 실비아와 누르딘은 공금 횡령 혐의로 구금돼 있었다.

봉고 전 대통령은 1967년부터 2009년까지 가봉을 통치한 오마르 봉고 전 대통령의 아들로, 아버지 사망 후 2009년부터 2023년까지 14년간 정권을 이어왔다.

봉고 전 대통령은 2023년 8월 대선에서 3연임에 도전해 64.27%의 득표율로 당선됐지만, 당선 발표 직후 그의 사촌 동생인 응게마 대통령(당시 공화국 수비대 사령관)이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고 임시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봉고 일가의 56년 장기 집권은 막을 내렸다.

지난 2023년 9월 6일(현지시간) 퇴임한 가봉 대통령 알리 봉고 온딤바(왼쪽)가 리브르빌 관저에서 유엔 중앙아프리카 사무소장 압두 아바리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AFP=연합뉴스

당시 봉고 전 대통령이 승리하며 3선을 확정 지은 것으로 발표되자 야권은 부정선거를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과도정부는 지난해 11월 대통령 임기를 5년에서 7년으로 연장하고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도록 하며 가족 구성원이 대통령직을 이어받을 수 없도록 하는 헌법개정안을 국민투표로 통과시켰다.

응게마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대선에서 94.85%의 압도적 득표율로 당선된 뒤 이달 3일 공식 취임하며 7년 임기를 시작했다. 약 20개월간의 과도통치를 끝내고 헌정으로 복귀한 응게마 대통령은 인프라 개선과 경제 다각화 등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특히 잦은 정전을 야기하는 노후화된 전력망, 40%에 달하는 청년 실업률, 열악한 도로 인프라, 급증하는 공공 부채 등이 최우선 해결 과제로 꼽힌다.
브리스 올리귀 응게마 가봉 대통령이 지난 3일(현지시간) 가봉의 수도 리브르빌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39 "통신비 아끼고 연 7% 통장까지…" 금융권 알뜰폰 시장 '혜택 경쟁' [공준호의 탈월급 생존법] 랭크뉴스 2025.05.17
48938 美 최대 투자유치행사서 쏟아진 ‘韓 러브콜’ [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5.05.17
48937 [현장+]김상욱 등에 업은 이재명, 연일 호남 유세…"진영이 뭐가 중요하나" 랭크뉴스 2025.05.17
48936 계엄군에 중학생, 소년공, 태아도 스러졌다… 잊히지 않은 5·18 랭크뉴스 2025.05.17
48935 무디스,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랭크뉴스 2025.05.17
48934 대법·헌재 '뜨거운 감자' 재판소원... 전문가들도 찬반 엇갈려 랭크뉴스 2025.05.17
48933 '反호반'으로 뭉친 LS·한진, 경영권 분쟁 염두 '백기사' 대비태세 랭크뉴스 2025.05.17
48932 [속보]무디스,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랭크뉴스 2025.05.17
48931 [속보] 무디스, 미국 국가신용등급 'Aaa'→'Aa1' 하향 조정 랭크뉴스 2025.05.17
48930 [2보] 무디스, 미국 국가신용등급 'Aaa'→'Aa1' 하향 조정 랭크뉴스 2025.05.17
48929 크론병 치료, 누군 듣고 누군 안 듣더니…이유 알았다[헬시타임] 랭크뉴스 2025.05.17
48928 '압도적 1위'와 '분주한 2위' 사이... 이준석과 권영국이 '메기' 될까[미리 보는 TV 토론] 랭크뉴스 2025.05.17
48927 김건희 강제구인도 검토하는 檢…'공천개입 의혹' 결정적 장면 랭크뉴스 2025.05.17
48926 지지율 30% 박스권에 갇힌 김문수... 이준석은 아직 미풍 랭크뉴스 2025.05.17
48925 트럼프 감세법안, ‘친정’ 공화당 강경파에 막혔다…하원 위원회서 부결 랭크뉴스 2025.05.17
48924 헌재, 민주당 ‘재판소원’ 입법에 “취지 공감” 찬성 의견서 제출 랭크뉴스 2025.05.17
48923 김문수, 5·18 하루앞 광주 방문…전야제·기념식은 불참 랭크뉴스 2025.05.17
48922 日 '생체실험' 증거 또 나오나…중국에 있던 '마루타 부대' 대원 명단 발견 랭크뉴스 2025.05.17
48921 "어디 총부리를 감히" "민주당이 원인 제공"…'강동' 엇갈렸다 [대선 족집게 지역구 르포] 랭크뉴스 2025.05.17
48920 "더 봐야쥬" "남들은 뭐래유"…대선 족집게 '청주'의 고민 [대선 족집게 지역구 르포] 랭크뉴스 202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