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6일 충북 청주시 올리브영 청주타운 앞에서 집중 유세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16일 유세에서 기자들 질문을 받지 않았다. 계속되는 구설수로 논란에 휩싸이자 언론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8시 서울 성남 판교역 출근길 인사를 시작으로 오후 6시50분쯤 마친 대전 도보 유세까지 8개의 일정을 소화했다. 그러나 기자들과 질의응답하는 자리는 한번도 마련하지 않았다. 오후 3시40분쯤 세종에서 김 후보가 행정수도 공약 발표를 마치자, 기자들이 ‘질문을 받아달라’고 수차례 요청했지만, 김 후보는 질문을 안 받고 곧바로 떠났다.
청주 일정을 마친 뒤에도 김 후보는 질문을 받지 않았다. 청주에서 유세 발언을 마치고 떠나는 김 후보에게 기자들이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권고에 관해 논의했나’라고 물었으나 김 후보는 아무런 답변 없이 떠났다.
12일 첫 선거운동 때만 해도 하루에 두차례씩 ‘백브리핑’(공식 행사 뒤 이뤄지는 언론과의 질의응답)을 가졌던 것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12~13일 진행된 선거운동 때에는 오후 2시30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언론 질문에 답한 뒤, 대구 서문시장 유세를 마치고 4시간 만에 언론과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 다음날에도 오전 10시 대구에서 질의응답에 응한 뒤 오후 4시에 부산에서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 바 있다.
김 후보의 이런 변화는 ‘발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처로 보인다. 김 후보는 유독 언론과 질의응답 과정에서 나온 발언으로 곤욕을 치르는 경우가 잦다. 15일 국회에서 연 긴급기자회견에서는 “계엄권 발동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헌재의 전원일치 판결을 ‘공산당’에 빗댔다. 이 발언 직후 윤재옥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이 김 후보가 말하는 도중 마이크를 끄는 일도 있었다.
12일 국립대전현충원 방문 때는 ‘채 상병 묘역에 왜 참배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서해 수호나 국토 수호를 위해 직접 순국하신 그런 대표적인 몇분만 참배했다. 다 참배할 수는 (없었다)”고 해 논란을 키웠다. 서울 송파 가락시장 상인들과의 아침 식사 자리에서 배현진 의원을 향해 “미스 가락시장”이라고 했다가 성인지 감수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김 후보의 ‘질의응답 패싱’이 당내 견해차가 큰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에 대해 입장 표명을 피하려고 그랬던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