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선까지 단 18일, 국민의힘은 선거 운동 시작 후 연일 윤석열 전 대통령 거취 문제 해결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번 주말까지는 매듭을 지어야 한다"며 오늘 중 윤 전 대통령에게 연락해 탈당 권고를 할 거라고 예고했지만, 아직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분위기입니다.

■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결론, 왜 늦어질까?


대선 승리를 위해 윤 전 대통령과 결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선 국면 초반부터 당에서 나왔지만, 윤 전 대통령 거취 관련 문제는 여전히 결론이 나지 않은 채 당내 요구만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당 중앙선대위 소속인 이정현·안철수·양향자 공동선거대책위원장 등은 공개적으로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고 있고, 최종 경선에서 고배를 마신 한동훈 전 대표는 "이번 주 첫 대선 후보 TV 토론회 이전에 김문수 후보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거듭 당에 요구했습니다.

당 지도부에서조차,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에게 탈당을 권고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내비쳤고, 권성동 원내대표 역시 "윤 전 대통령이 당과 선거를 위해 판단을 하리라고 기대한다"며 자진 탈당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다만, 당사자인 윤 전 대통령의 입장은 일부 측근을 통해 전해질 뿐 뚜렷한 입장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은 김 후보의 승리에 가장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뭐든지 하겠다는 생각으로 본인의 거취 문제도 시기와 방법을 따져 당과 긴밀히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습니다.

또, 윤 전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되는 한 인사는 KBS에 "윤 전 대통령이 당과 협의해 선거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따르겠다고 했다"고 전하면서도, "속마음은 탈당 생각이 없는 것 아니겠냐"고 덧붙였습니다.

선거 승리를 위해 결단하겠다는 입장만 전해질뿐, 아직 뚜렷한 결론은 없는 겁니다.

■ 당내에선 '자진 탈당' 기대감뿐…"탈당 없이는 선거 패배"


당내에서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이 아닌 출당 등 강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거듭 제기되지만, 내부적으로는 강제 조치가 아닌 자진 탈당에 기대감을 쏟고 있습니다.

한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도 적지 않은 만큼, 섣불리 탈당을 권하기는 쉽지 않다"며 "윤 전 대통령 본인이 결심해 주면 좋지 않겠냐"고 했고, 또다른 선대위 관계자 역시 "이 문제가 선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조심스럽다"며 "각자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강제 조치에 나설 경우 선거 기간 중 지지층 반발과 당내 내홍이 생길 수 있는 만큼, 강제 조치보다는 윤 전 대통령 스스로 결단해주길 기다리고 있다는 겁니다.

한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 (윤 전 대통령이) 자진 탈당하지 않는다면 선거에서 결국 지는 것 "이라고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또, 강제 출당을 위해서는 당 윤리위원회를 거쳐야 하는데 대선까지 십여 일이 남은 상황에서 절차상 쉽지 않다는 판단도 나옵니다.

■ 말 아끼는 김문수…김용태, '강제 조치' 결단할까?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 탈당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라며 "후보로 나선 제가 '탈당하십시오, 마십시오' 이런 이야기를 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반복하며 거리를 두는 모습입니다.

보수 지지층을 의식한 듯 찬성과 반대 중 어느 판단도 내리지 않겠다는 겁니다.

다만, '탈당 권고'를 예고한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의견에 대해서도 어떠한 입장도 밝히지 않고 있어, 사실상 김 비대위원장 역할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는 걸로 보입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 문제는 이제 당에 맡겨달라"며 고심에 빠졌습니다. 양향자 공동선대위원장은 "민심보다는 윤심이 먼저였던 당의 잘못된 생각과 비겁한 타성을 타파해달라"며 김 비대위원장을 압박했습니다.

당장 윤 전 대통령이 당 지도부의 자진 탈당 공개 요구에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 김 비대위원장이 향후 출당 등 강제 조치에 나설지 주목됩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67 ‘팔틀막’ 사과 없는 경호처…“다음에도 그럴 수 있어” [피고인 윤석열]⑥ 랭크뉴스 2025.05.17
48966 법원, '사기·준강제추행 혐의' 허경영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5.17
48965 ‘기습 폭우’ 도로 침수…서울시, 한때 25곳 하천 통제 랭크뉴스 2025.05.17
48964 손흥민은 왜?...협박녀에게 3억이나 준 이유 랭크뉴스 2025.05.17
48963 [인터뷰]선수들에 전술노트 전하던 이관우 감독..."쓰라린 4연패 후 달라졌죠" 랭크뉴스 2025.05.17
48962 [우리 연구실 찰스]② “日은 입국장서 외국인 등록증 발급, 韓은 한 달 이상 걸려” 랭크뉴스 2025.05.17
48961 무디스, 美 신용등급 최고등급서 한 단계 강등…"정부부채 증가"(종합) 랭크뉴스 2025.05.17
48960 갑자기 집중력 잃은 아이, 이 신호를 놓치지 마세요 랭크뉴스 2025.05.17
48959 무디스, 美 신용등급 'Aaa'→'Aa1' 하향…“정부부채 증가” 랭크뉴스 2025.05.17
48958 [대선공약] 전북에 구애하는 대선 주자들…공약은 거기서 거기? 랭크뉴스 2025.05.17
48957 [속보] 무디스, 미국 국가신용등급 ‘Aaa’서 ‘Aa1’으로 강등 < 로이터 > 랭크뉴스 2025.05.17
48956 “푸지게 살아 내 아가, 널 위해 찾아냈어” MZ부모의 육아템 ‘디깅’ 랭크뉴스 2025.05.17
48955 "사랑하는 일터 국회" 수어 통역사, 충격에 눈물 흘렸던 이유 알아봤다 랭크뉴스 2025.05.17
48954 트럼프 “협상 일일이 다 못해…2~3주내 새 관세 통보” 랭크뉴스 2025.05.17
48953 사기·준강제추행 등 혐의 허경영 대표, 전날 자정 구속 랭크뉴스 2025.05.17
48952 배우 황정음, 재판 받았다...이유는? 랭크뉴스 2025.05.17
48951 [속보]무디스, 美 신용등급 'Aaa'→'Aa1' 하향…“정부부채 증가” 랭크뉴스 2025.05.17
48950 ①‘총 쏴서라도 끌어내’ 지시에 99년생 군인은 생각했다…“이건 진짜 아니다” [법정 417호, 내란의 기록] 랭크뉴스 2025.05.17
48949 10살 연상 유부남 사랑했다…연예인처럼 예뻤던 딸의 비극 랭크뉴스 2025.05.17
48948 [샷!] 보증금 無·월세 30만원, 함께 살'개' 랭크뉴스 202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