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경기에 발목 잡힌 국내 식품업체들이 1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이고 있는 가운데, 해외 사업에 공을 들였던 삼양식품과 오리온은 환율효과까지 톡톡히 누리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었다.
삼양식품은 올해 1분기 매출 5290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공시했다. 분기 최대 실적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했다. 해외 매출은 4240억원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한다. 미국, 중국,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불닭볶음면 등 불닭 브랜드가 사랑받은 덕분이다. 영업이익은 13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늘었고, 영업이익률은 25%까지 올랐다.
이날 삼양식품은 코스피 시장에서 99만1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같은 날 실적을 발표한 오리온 역시 해외 사업 효과를 톡톡히 봤다. 1분기 매출은 80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늘고 영업이익은 1314억원으로 5% 증가했다. 중국(7.1%), 베트남(8.5%), 러시아(33%) 등 글로벌 법인이 성장을 이끌었다. 국내 법인의 내수 판매액은 1.6%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미국 등으로 향하는 수출액은 23% 늘었다.
하지만 국내 식품업체 대다수의 경우 올해 1분기 실적에 빨간불이 켜졌다. 내수 시장이 정체된 데다 원재료 가격이 올라 수익성이 나빠졌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오뚜기는 1분기 영업이익(575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21.5% 줄었다. 농심의 영업이익(561억원)도 전년 동기보다 8.7% 감소했다. 앞서 실적을 발표한 롯데웰푸드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164억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1% 줄어들었다. CJ제일제당 역시 식품부문 영업이익(1286억원)이 30% 감소했다. 식품업계는 가격 인상 효과가 반영되는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양식품은 올해 1분기 매출 5290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공시했다. 분기 최대 실적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했다. 해외 매출은 4240억원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한다. 미국, 중국,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불닭볶음면 등 불닭 브랜드가 사랑받은 덕분이다. 영업이익은 13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늘었고, 영업이익률은 25%까지 올랐다.
이날 삼양식품은 코스피 시장에서 99만1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같은 날 실적을 발표한 오리온 역시 해외 사업 효과를 톡톡히 봤다. 1분기 매출은 80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늘고 영업이익은 1314억원으로 5% 증가했다. 중국(7.1%), 베트남(8.5%), 러시아(33%) 등 글로벌 법인이 성장을 이끌었다. 국내 법인의 내수 판매액은 1.6%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미국 등으로 향하는 수출액은 23% 늘었다.
하지만 국내 식품업체 대다수의 경우 올해 1분기 실적에 빨간불이 켜졌다. 내수 시장이 정체된 데다 원재료 가격이 올라 수익성이 나빠졌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오뚜기는 1분기 영업이익(575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21.5% 줄었다. 농심의 영업이익(561억원)도 전년 동기보다 8.7% 감소했다. 앞서 실적을 발표한 롯데웰푸드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164억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1% 줄어들었다. CJ제일제당 역시 식품부문 영업이익(1286억원)이 30% 감소했다. 식품업계는 가격 인상 효과가 반영되는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