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처벌보다 대화·포용” 담화
남녀공학 전환 논의·수사는 진행
남녀공학 전환 논의·수사는 진행
지난해 11월 서울 성북구 동덕여자대학교에서 남녀공학 전환을 반대하는 학생들이 ‘학교는 우리를 꺾을 수 없다’라는 팻말을 들고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덕여대가 남녀공학 전환 논의에 반발해 교내 점거농성을 벌였던 학생들에 대한 형사 고소를 모두 취소했다. 지난해 11월 학교 측과 학생들 간 갈등이 본격화한 지 6개월 만이다. 다만 경찰 수사와 공학 전환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어서 학내 갈등의 불씨는 꺼지지 않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동덕여대는 공학 전환에 반대하며 본관을 점거했던 학생 19명에 대한 형사고소 취하서와 처벌불원서를 서울경찰청에 제출했다고 15일 밝혔다. 동덕여대 관계자는 “지난 13일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와 중앙운영위원회 면담에서 학내 갈등이 길어지면서 학교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김명애 동덕여대 총장은 담화문을 내고 “시위 과정에서 발생한 불법행위에 대해 원칙적인 조치를 취했지만 이로 인해 반목과 불신, 학교 이미지 실추 등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했다”며 “교육기관은 처벌보다는 대화와 포용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동덕여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 인스타그램 캡처
동덕여대는 남녀공학 전환 논의를 해결하기 위한 ‘공학전환공론화위원회’를 만들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김 총장은 “위원회에서 학생, 교수, 직원 등이 참여해 공학 전환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해 투명하게 논의하겠다”며 “어떤 결론이 도출되더라도 수용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다. 재물손괴와 업무방해 등 혐의는 ‘반의사불벌죄’(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처벌할 수 없음)에 해당하지 않아 경찰 조사가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재학생 일부는 남녀공학 전환 논의로 학내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24일간 본관을 점거하고, 교내 시설물에 래커칠을 하는 등 시위를 벌였다. 당시 학교 측은 시위로 손상된 교내 시설물 복구에 54억원 이상 예산이 들어간다면서 시위 가담 학생들을 총장 명의로 고소했다.
남녀공학 전환 논의 자체를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도 꺾이지 않은 분위기다. 공학 전환 반대 시위에 참여했던 재학생 김모(25)씨는 “학교가 학생을 고소한 상황은 학생들에게 큰 상처로 남아 있다”며 “남녀공학 전환 논의 자체가 철회돼야 한다”고 말했다.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입장문을 통해 “8000 학우들의 총의가 모여 형사고소 철회라는 값진 결과를 만들어냈다”며 “앞으로 경찰 조사를 받는 학우들을 보호하기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