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비상계엄 다음날 윤 전 대통령의 법조인 출신 측근 4인방의 안가회동 사실이 드러나자, 이들이 연말모임이었을 뿐이라고 해명했던 사실 기억하십니까.
그런데 이들 중 일부가 안가에서 만난 당일, 회동 전후로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은 윤 전 대통령과 통화를 할 때쯤 안가회동을 주선했고, 김주현 민정수석은 회동 전은 물론 회동 이후 밤시간에도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이 확인됩니다.
조희원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 리포트 ▶
12.3 비상계엄 다음날 저녁, 서울 삼청동 대통령 안가에서 모인 박성재 법무부 장관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
계엄 후속 대책을 논의하거나 제2의 계엄을 모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쏟아졌지만, 이들은 연말 모임 정도였다고 해명했습니다.
[박성재/법무부 장관 (작년 12월 6일, 국회 법사위)]
"국무회의에서 자주 보고 하지만 자리를 못 해서 해가 가기 전에 한번 보자‥"
[이완규/법제처장 (작년 12월 11일, 국회 법사위)]
"이번 사태에 대해서는 다 그냥 한숨만 쉴 뿐이고 특별히 다들 자제하는 형편이고 다들 아는 게 별로 없는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이날, 이들 4인방 중 2명이 안가 모임 당일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낮 1시 6분에 윤 전 대통령에게 먼저 전화했고, 1시 45분에는 윤 전 대통령이 이 전 장관에게 전화해 모두 7분 정도 통화했습니다.
이 전 장관은 경찰 조사에서 첫 통화는 "의원들을 국회에 출입시켜 계엄 해제가 빨리 해결되는 바람에 유혈 충돌 없이 잘 끝났다고 격려하는 내용"이었고, 두 번째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이 "'정말 절박했다, 탄핵 때문에 도저히 해볼 도리가 없다'는 소회를 말씀하셨다"고 진술했습니다.
그런데 윤 전 대통령과 통화를 전후해 이 전 장관이 안가 모임을 추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성재 법무장관이 경찰 조사에서 "점심이 조금 지난 무렵 행안부 장관이 법제처장과 민정수석과 모여 식사를 하자고 연락이 왔다"고 진술한 겁니다.
김주현 민정수석도 이날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오전 11시 18분에 먼저 전화를 걸었고, '안가 회동'이 끝난 밤 10시 43분에 또 전화를 걸어 두 번째 통화가 이뤄졌습니다.
이날 두 사람은 약 7분간 통화했습니다.
[김주현/대통령실 민정수석 - 백혜련/민주당 의원 (1월 22일, 국회 국조특위)]
"<법률적으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그런 내용으로 뭐 상의드리거나 그런‥ <그럼 무슨 내용으로 통화했어요?> 글쎄요. 뭐 특별히 기억나는 거는 없습니다."
김 수석은 윤 전 대통령과 통화 내용에 대해 "일일이 기억나진 않지만, 당일 상황은 청문회를 통해 설명했다"면서 "당시는 대통령 직무 정지 전이기 때문에 대통령과의 통화가 특별한 것이 아닐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MBC뉴스 조희원입니다.
영상편집: 이정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