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호텔앤드리조트, 아워홈 지분 58.62% 인수
매각 반대했던 구지은, 주주 권리 행사 전망
켈리스코 등 양측이 함께 풀어야 할 문제도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15일 국내 2위 급식·식자재 업체 아워홈의 지분 58.62%를 인수하며 최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이 인수 작업을 시작한 지 7개월 만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해 매출 2조4400억원을 달성한 아워홈을 품으며 ‘푸드테크’ 부문에서 본격적인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다만 한화 측으로의 지분 매각을 반대했던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과 당분간은 ‘불편한 동거’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이날 오전 보도자료를 통해 아워홈 지분 58.62% 인수를 위한 거래 대금 8695억원을 지급하고 인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장남인 구본성 전 아워홈 부회장 지분(38.56%)과 현재 회장직을 맡고 있는 장녀 구미현씨(19.28%)와 그 자녀의 지분을 합한 것이다. 매각에 반대한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 측 지분은 40.27% 수준이다. 구지은 전 부회장이 지분 20.67%를, 차녀 구명진씨가 19.6%를 가지고 있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한화의 인수 과정에서 우선매수권 등을 주장하지 않았다. 하지만 주주로서 목소리는 꾸준히 낼 것으로 보인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 참석해 주주제안으로 구명진 주주와 그 자녀(조효재)의 사내이사 선임안을 상정했다. 또 구명진 주주는 구지은 전 부회장의 대표이사 선임안을 상정했다. 다만 해당 안건은 부결됐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회사 정보를 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분율이 5%가 넘으면 주주명부 열람·등사와 이사회의사록 열람·등사, 회계 장부 등사 등이 가능하다. 이 중 이사회 의사록 열람을 통한 경영 참여 가능성이 높다. 회사 의사결정 과정에 따라 필요하다면 소송을 제기하거나 이사 해임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경영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이사 해임 청구권, 임시 주주총회 소집 청구권, 주주제안권 등 다양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한화 측이 앞으로 사업 확장을 명분으로 주주 배정 유상증자에 나서고 구지은 전 부회장 측이 따라오지 못할 경우 실권주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구 전 부회장의 지분율을 희석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행동주의 펀드 관계자는 “구 전 부회장의 지분이 희석되더라도 지분율이 5%까지 떨어질 때까지는 경영에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다”며 “다만 지배적 위치의 주주가 아니기 때문에 그 과정과 방법은 고될 것”이라고 했다.
사업적으로도 풀어야 할 부분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켈리스코다. 켈리스코는 2009년 아워홈의 외식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설립한 아워홈의 자회사다. 돈카츠 전문점 사보텐 외에 히바린(전통 카츠), 리퍼크(커피·디저트) 등의 외식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캘리스코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캘리스코의 최대 주주는 지분 50%를 보유한 벤처캐피털(VC) 겸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린드먼)다. 구 전 부회장이 지분 23%를 보유한 2대 주주다. 구명진씨도 17.75%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켈리스코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아워홈 경영권 분쟁 상황에 따라 켈리스코의 식자재 조달 방식이 달라지는 부침도 있었지만, 아워홈이 켈리스코의 든든한 뒷배는 맞았다”면서 “아워홈의 지분이 한화로 넘어간 만큼 이 부분에서 구지은 전 부회장과 논의할 일들이 생길 것”이라고 했다.
재계에서는 아워홈 지분의 절반 이상이 한화로 넘어간 상황에서 구지은 전 부회장이 켈리스코를 기반으로 재기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구지은 전 부회장의 부친인 고(故) 구자학 회장도 2000년 LG유통에서 계열 분리 독립한 후, 아워홈을 창립해 회사를 일정 이상 반열에 오른 것처럼 구 전 부회장도 비슷한 행보를 걸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기업 간 거래에 집중하던 아워홈이 소비자 브랜드로 출시한 ‘구씨반가’의 명맥에도 눈길이 쏠린다. 구씨반가는 고 구자학 회장의 뜻을 이어 출시한 간편식(HMR) 브랜드다. 경남 진주 명문가인 구씨가문의 전통 음식을 간편식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진주식 속풀이 해장국을 시작으로 다양한 김치 등 신제품을 지속 출시해 왔다.
매각 반대했던 구지은, 주주 권리 행사 전망
켈리스코 등 양측이 함께 풀어야 할 문제도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15일 국내 2위 급식·식자재 업체 아워홈의 지분 58.62%를 인수하며 최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이 인수 작업을 시작한 지 7개월 만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해 매출 2조4400억원을 달성한 아워홈을 품으며 ‘푸드테크’ 부문에서 본격적인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다만 한화 측으로의 지분 매각을 반대했던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과 당분간은 ‘불편한 동거’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3남인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제공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이날 오전 보도자료를 통해 아워홈 지분 58.62% 인수를 위한 거래 대금 8695억원을 지급하고 인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장남인 구본성 전 아워홈 부회장 지분(38.56%)과 현재 회장직을 맡고 있는 장녀 구미현씨(19.28%)와 그 자녀의 지분을 합한 것이다. 매각에 반대한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 측 지분은 40.27% 수준이다. 구지은 전 부회장이 지분 20.67%를, 차녀 구명진씨가 19.6%를 가지고 있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한화의 인수 과정에서 우선매수권 등을 주장하지 않았다. 하지만 주주로서 목소리는 꾸준히 낼 것으로 보인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 참석해 주주제안으로 구명진 주주와 그 자녀(조효재)의 사내이사 선임안을 상정했다. 또 구명진 주주는 구지은 전 부회장의 대표이사 선임안을 상정했다. 다만 해당 안건은 부결됐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회사 정보를 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분율이 5%가 넘으면 주주명부 열람·등사와 이사회의사록 열람·등사, 회계 장부 등사 등이 가능하다. 이 중 이사회 의사록 열람을 통한 경영 참여 가능성이 높다. 회사 의사결정 과정에 따라 필요하다면 소송을 제기하거나 이사 해임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경영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이사 해임 청구권, 임시 주주총회 소집 청구권, 주주제안권 등 다양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한화 측이 앞으로 사업 확장을 명분으로 주주 배정 유상증자에 나서고 구지은 전 부회장 측이 따라오지 못할 경우 실권주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구 전 부회장의 지분율을 희석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행동주의 펀드 관계자는 “구 전 부회장의 지분이 희석되더라도 지분율이 5%까지 떨어질 때까지는 경영에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다”며 “다만 지배적 위치의 주주가 아니기 때문에 그 과정과 방법은 고될 것”이라고 했다.
아워홈 서울 마곡 본사 집무실에서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과 그의 부친 고 구자학 회장의 모습. /구지은 페이스북 캡처
사업적으로도 풀어야 할 부분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켈리스코다. 켈리스코는 2009년 아워홈의 외식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설립한 아워홈의 자회사다. 돈카츠 전문점 사보텐 외에 히바린(전통 카츠), 리퍼크(커피·디저트) 등의 외식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캘리스코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캘리스코의 최대 주주는 지분 50%를 보유한 벤처캐피털(VC) 겸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린드먼)다. 구 전 부회장이 지분 23%를 보유한 2대 주주다. 구명진씨도 17.75%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켈리스코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아워홈 경영권 분쟁 상황에 따라 켈리스코의 식자재 조달 방식이 달라지는 부침도 있었지만, 아워홈이 켈리스코의 든든한 뒷배는 맞았다”면서 “아워홈의 지분이 한화로 넘어간 만큼 이 부분에서 구지은 전 부회장과 논의할 일들이 생길 것”이라고 했다.
재계에서는 아워홈 지분의 절반 이상이 한화로 넘어간 상황에서 구지은 전 부회장이 켈리스코를 기반으로 재기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구지은 전 부회장의 부친인 고(故) 구자학 회장도 2000년 LG유통에서 계열 분리 독립한 후, 아워홈을 창립해 회사를 일정 이상 반열에 오른 것처럼 구 전 부회장도 비슷한 행보를 걸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기업 간 거래에 집중하던 아워홈이 소비자 브랜드로 출시한 ‘구씨반가’의 명맥에도 눈길이 쏠린다. 구씨반가는 고 구자학 회장의 뜻을 이어 출시한 간편식(HMR) 브랜드다. 경남 진주 명문가인 구씨가문의 전통 음식을 간편식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진주식 속풀이 해장국을 시작으로 다양한 김치 등 신제품을 지속 출시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