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아워홈 지분 58.62% 인수
매각 반대했던 구지은, 주주 권리 행사 전망
켈리스코 등 양측이 함께 풀어야 할 문제도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15일 국내 2위 급식·식자재 업체 아워홈의 지분 58.62%를 인수하며 최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이 인수 작업을 시작한 지 7개월 만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해 매출 2조4400억원을 달성한 아워홈을 품으며 ‘푸드테크’ 부문에서 본격적인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다만 한화 측으로의 지분 매각을 반대했던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과 당분간은 ‘불편한 동거’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3남인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제공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이날 오전 보도자료를 통해 아워홈 지분 58.62% 인수를 위한 거래 대금 8695억원을 지급하고 인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장남인 구본성 전 아워홈 부회장 지분(38.56%)과 현재 회장직을 맡고 있는 장녀 구미현씨(19.28%)와 그 자녀의 지분을 합한 것이다. 매각에 반대한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 측 지분은 40.27% 수준이다. 구지은 전 부회장이 지분 20.67%를, 차녀 구명진씨가 19.6%를 가지고 있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한화의 인수 과정에서 우선매수권 등을 주장하지 않았다. 하지만 주주로서 목소리는 꾸준히 낼 것으로 보인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 참석해 주주제안으로 구명진 주주와 그 자녀(조효재)의 사내이사 선임안을 상정했다. 또 구명진 주주는 구지은 전 부회장의 대표이사 선임안을 상정했다. 다만 해당 안건은 부결됐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회사 정보를 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분율이 5%가 넘으면 주주명부 열람·등사와 이사회의사록 열람·등사, 회계 장부 등사 등이 가능하다. 이 중 이사회 의사록 열람을 통한 경영 참여 가능성이 높다. 회사 의사결정 과정에 따라 필요하다면 소송을 제기하거나 이사 해임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경영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이사 해임 청구권, 임시 주주총회 소집 청구권, 주주제안권 등 다양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한화 측이 앞으로 사업 확장을 명분으로 주주 배정 유상증자에 나서고 구지은 전 부회장 측이 따라오지 못할 경우 실권주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구 전 부회장의 지분율을 희석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행동주의 펀드 관계자는 “구 전 부회장의 지분이 희석되더라도 지분율이 5%까지 떨어질 때까지는 경영에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다”며 “다만 지배적 위치의 주주가 아니기 때문에 그 과정과 방법은 고될 것”이라고 했다.

아워홈 서울 마곡 본사 집무실에서 구지은 전 아워홈 부회장과 그의 부친 고 구자학 회장의 모습. /구지은 페이스북 캡처

사업적으로도 풀어야 할 부분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켈리스코다. 켈리스코는 2009년 아워홈의 외식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설립한 아워홈의 자회사다. 돈카츠 전문점 사보텐 외에 히바린(전통 카츠), 리퍼크(커피·디저트) 등의 외식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캘리스코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캘리스코의 최대 주주는 지분 50%를 보유한 벤처캐피털(VC) 겸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린드먼)다. 구 전 부회장이 지분 23%를 보유한 2대 주주다. 구명진씨도 17.75%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켈리스코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아워홈 경영권 분쟁 상황에 따라 켈리스코의 식자재 조달 방식이 달라지는 부침도 있었지만, 아워홈이 켈리스코의 든든한 뒷배는 맞았다”면서 “아워홈의 지분이 한화로 넘어간 만큼 이 부분에서 구지은 전 부회장과 논의할 일들이 생길 것”이라고 했다.

재계에서는 아워홈 지분의 절반 이상이 한화로 넘어간 상황에서 구지은 전 부회장이 켈리스코를 기반으로 재기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구지은 전 부회장의 부친인 고(故) 구자학 회장도 2000년 LG유통에서 계열 분리 독립한 후, 아워홈을 창립해 회사를 일정 이상 반열에 오른 것처럼 구 전 부회장도 비슷한 행보를 걸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기업 간 거래에 집중하던 아워홈이 소비자 브랜드로 출시한 ‘구씨반가’의 명맥에도 눈길이 쏠린다. 구씨반가는 고 구자학 회장의 뜻을 이어 출시한 간편식(HMR) 브랜드다. 경남 진주 명문가인 구씨가문의 전통 음식을 간편식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진주식 속풀이 해장국을 시작으로 다양한 김치 등 신제품을 지속 출시해 왔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42 오늘 안덕근·그리어 회담…‘한·미 관세안’ 윤곽 나올까 랭크뉴스 2025.05.16
48441 젤렌스키도 '이스탄불 회담' 불참…고위급 회담은 열릴 듯 랭크뉴스 2025.05.16
48440 "어? 메시지 쓰고 있네?"…카카오톡에서도 메시지 입력 상태 보여준다 랭크뉴스 2025.05.16
48439 몇 시간 주무세요? 수면 부족 ‘3일’이면 심장 망가진답니다 랭크뉴스 2025.05.16
48438 사법부 공격, 이재명 방탄입법 이어가는 민주…선대위원장 말도 ‘패스’ 랭크뉴스 2025.05.16
48437 검찰, 이승기 장인 등 13명 기소…코스닥 상장사 3곳 연달아 주가조작 랭크뉴스 2025.05.16
48436 뉴욕증시, 급등 후 숨고르기…일제히 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5.16
48435 마일리지 통합 전 소진 이끈다… 대한항공·아시아나, 용처 확대 랭크뉴스 2025.05.16
48434 황정음, 회삿돈 횡령해 42억원 코인 투자…"심려 끼쳐 죄송"(종합) 랭크뉴스 2025.05.16
48433 'MB계' 이재오, 친명계와 만찬 "단순 사제지간·선후배 모임" 랭크뉴스 2025.05.16
48432 머스크의 AI 챗봇 그록, '야구 선수 연봉' 묻자 엉뚱한 답변... 논란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16
48431 김용태 “윤 전 대통령에 탈당 권고드릴 것”…국힘 최연소 수장의 ‘미지근’한 취임 일성 랭크뉴스 2025.05.16
48430 트럼프 2기 행정부도 北여행금지 유지…내년 8월까지 연장 랭크뉴스 2025.05.16
48429 "아내가 밥도 안 줘" "쓰레기 소리 들어"…전한길, 결국 한국사 강사 은퇴 랭크뉴스 2025.05.16
48428 김용태, 김건희 검찰 소환 불응에 “수사에 성역 없어야” 랭크뉴스 2025.05.16
48427 [Today’s PICK] 내수에 발목 잡힌 식품? 삼양식품·오리온 빛났다 랭크뉴스 2025.05.16
48426 “코로나 거치면서 대중의 과학화 이뤄진 걸 보고 기뻤죠” 랭크뉴스 2025.05.16
48425 제이미 다이먼 “美 침체 가능성 아직 반반” 랭크뉴스 2025.05.16
48424 한화 ‘먹거리’ 늘어난다…급식 판 바꾸는 아워홈 랭크뉴스 2025.05.16
48423 [사설] 판사 술 접대 의혹...민주당, 증거 내놓고 법원은 신속 규명을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