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진=연합뉴스

애플이 뇌파를 이용해 자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13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애플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스타트업 싱크론과 협력해 손 사용이 힘든 중증 장애인들이 애플 기기를 뇌파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뉴욕 브루클린에 본사를 둔 싱크론은 스텐트로드(Stentrode)라는 이름의 뇌 임플란트 장치를 개발한 기업이다. 이 장치는 뇌 운동 피질의 정맥에 삽입돼 뇌 신호를 읽고 사용자의 의도를 해석해 기기 운영체제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손이나 음성 명령 없이도 기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현재, 이 기술은 화면 탐색과 아이콘 선택 수준의 기본적인 조작이 가능하지만, 마우스처럼 자유롭고 빠르게 커서를 이동시키는 등의 정교한 제어는 아직 어렵다. 싱크론은 2019년부터 움직임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중증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10명에게 스텐트로드 장치를 이식해 왔다.

애플은 이 장치를 아이폰, 아이패드 등 자사 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BCI 전용 인터페이스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WSJ은 애플이 올해 말 이 표준을 공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를 통해 척수 손상이나 루게릭병(ALS)과 같은 질병으로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수만 명의 사람이 애플 기기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덧붙였다.

모건스탠리는 미국 내에서만 약 15만 명이 BCI 장치의 초기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한다.

업계에서는 애플이 이 기술을 통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와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고 있다. 뉴럴링크는 사지마비 환자의 뇌에 칩을 이식해 기기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했으며, 최근에는 세 번째 환자의 사례도 공개된 바 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00 “귀여우셔, 급 아니니 벗어라”…정청래, 이재명 겨냥 ‘방탄복’ 입은 곽규택 쏘아 랭크뉴스 2025.05.14
47799 "어떡하냐 문수야"서 "아버지"? 이수정 '광속 전환' 논란 랭크뉴스 2025.05.14
47798 “1년 후엔 찍어주더라” 윤상현에 인천지역 시민단체 ‘시민소환장’ 발부 랭크뉴스 2025.05.14
47797 부사관이 女상관 모텔 끌고가 성폭행…실형에 항소하더니 결국 랭크뉴스 2025.05.14
47796 이재명 “내란 세력 반드시 찾아내 ‘깨끗한’ 법정에 세워야” 랭크뉴스 2025.05.14
47795 학폭 가해자로 몰린 10대 교육청 상대로 소송 제기해 승소 랭크뉴스 2025.05.14
47794 당보다 지지율 높은 이재명, 낮은 김문수‥왜? [맞수다] 랭크뉴스 2025.05.14
47793 [현장+]이재명 "많이 이길 거란 소리 하지말라…절박한 선거" 랭크뉴스 2025.05.14
47792 숙명여대, '표절 논문' 김건희 여사 학위 취소 위한 학칙 개정 착수 랭크뉴스 2025.05.14
47791 [뉴스 다이브] 조희대 침묵·김건희 불출석... 국민 무시? 랭크뉴스 2025.05.14
47790 "美보다 쌀값 더 무섭다"…김정은 손대자 두배 폭등, 北 딜레마 [심상찮은 北 쌀값 폭등①] 랭크뉴스 2025.05.14
47789 민주당 "지귀연 판사 '룸살롱 접대' 의혹‥재판서 즉각 배제해야" 랭크뉴스 2025.05.14
47788 ‘지귀연 룸살롱 접대’ 의혹 제기한 민주당 “부인하기 쉽잖을 것” 랭크뉴스 2025.05.14
47787 [속보] 법사위, 민주당 주도 ‘조희대 사법 남용 특검법’ 등 소위 회부 랭크뉴스 2025.05.14
47786 삼성전자, 유럽 '플랙트' 2.4조원에 인수…8년 만에 '조 단위' M&A 랭크뉴스 2025.05.14
47785 [속보] '조희대 특검법' '대법관 최대 100명' 법안 국회 법사위 회부 랭크뉴스 2025.05.14
47784 숙명여대, ‘김건희 석사학위 취소’ 소급적용 학칙 개정 추진 랭크뉴스 2025.05.14
47783 [단독] 우리은행, 알뜰폰 연계 연 7% 적금 상품 출시 랭크뉴스 2025.05.14
47782 32도 베이징 하늘서 4㎝ ‘비둘기 알’ 크기 우박…차량 수천 대 파손 랭크뉴스 2025.05.14
47781 줍줍 규제 미뤄지며 ‘무주택자 기회’ 또 밀렸다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