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사우디 방문…美, 대규모 무기판매 통해 안보협력 강화
트럼프, 사우디 왕세자에 "우리는 서로 잘 알고 많이 좋아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스탄불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호 조준형 특파원 =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13일(현지시간) 양국간 6천억 달러 (약 850조원) 규모의 투자(사우디의 대미 투자) 및 수출(미국의 대 사우디 수출), 안보 협력 강화 등 내용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순방 첫날인 이날 사우디의 수도 리야드를 찾아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한 뒤 에너지, 국방, 자원 등 분야 합의가 담긴 이 협정에 서명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백악관은 관련 보도자료에서 미국 12개 방산기업이 사우디와 1천420억 달러에 달하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방위 장비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소개했다.

이 계약에는 공군 발전 및 우주 능력, 대공 및 미사일 방어, 해상 및 해안 안보, 국경 안보 및 지상군 현대화, 정보통신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과 관련된 장비 등이 포함돼 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또 미국은 사우디 군대의 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어 민간 분야 협력과 관련, 사우디 기업 데이터볼트가 미국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데이터볼트는 또 미국 기업 구글, 오라클, 우버 등과 함께 양국 최첨단 기술에 8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이와 함께 힐인터내셔널, 제이콥스, 파슨스, AECOM 등 미국 기업들이 사우디 킹살만 국제공항과 같은 인프라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미국의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20억 달러의 수출이 이뤄질 것이라고 백악관은 덧붙였다.

아울러 GE버노바의 가스 터빈과 에너지 솔류션 수출(이상 142억 달러 규모), 보잉 737-8 여객기 수출(48억 달러 규모)이 이뤄질 것이며, 보건분야에서 샤메흐 IV 솔루션즈가 미시간주의 공장 건설을 포함해 58억 달러 규모를 미국에 투자할 예정이다. 또 5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 투자펀드, 50억 달러 규모의 항공우주 및 방위기술 펀드, 4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스포츠 펀드 등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미 투자와 관련한 투자 파트너십도 이번 패키지에 포함됐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양측은 이번 협정 체결 계기에 에너지 관련 양해각서, 미래 방위 능력에 대한 의향서, 광물 자원에 관한 양해각서, 법무 협력 양해각서, 우주 및 감염병 관련 협력 합의 등 다양한 부대 합의에도 서명했다.

그뿐만 아니라 두 정상은 사우디군의 현대화와 발전을 위한 합의도 체결했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와의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그 대가로 대규모 대사우디 수출과 투자 유치를 받는 '빅딜'을 성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날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무함마드 왕세자는 가자지구와 휴전, 시리아 정세 안정, 이란 핵프로그램 해체 방안, 유가 안정 등 중동의 여러 안보 현안도 의제로 다룬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무함마드 왕세자와 본격적인 양자회담에 앞서 "먼저 당신을 만나 기쁘다"라고 인사한 뒤 "우리는 서로 매우 잘 알고 있고 정말 서로를 많이 좋아한다고 생각한다"라며 친분을 과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대규모 투자와 일자리를 확보했다며 사우디를 향해 "우리는 당신의 위대한 조국에 계속해서 매우 잘 봉사(service)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가 미국에 6천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선 "1조달러(약 1천423조5천억원)면 더 좋겠다"고 농담조로 언급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6일까지 나흘간 사우디에 이어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를 잇달아 방문한다. 1월 대통령 취임 뒤 첫 해외 공식 순방 일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도 사우디를 첫 해외 방문국으로 선택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제안한 대로 오는 15일 이스탄불 평화협상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직접 오면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순방 중 전격적으로 참석할 수도 있어 주목된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24 “국힘과 절연” 홍준표에 권영세 “타고난 인성 어쩔 수 없나 보다”···이준석 “황당” 랭크뉴스 2025.05.14
47723 [속보] 이재명, 산은 이전 대신 “해수부·HMM 부산으로 옮기겠다” 랭크뉴스 2025.05.14
47722 "이재명 피해자 프레임" 방탄복 입고 때린 곽규택…정청래 "귀엽네" 랭크뉴스 2025.05.14
47721 한달만에 3조 기업 인수…관리의 삼성이 달라졌다 [시그널] 랭크뉴스 2025.05.14
47720 성매매하려다 딱 걸린 남성…알고보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랭크뉴스 2025.05.14
47719 ‘서부지법 난입’ 2명 실형…서부지법 판사가 밝힌 소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14
47718 강원 고성군 수동면 비무장지대서 산불 발생···헬기 3대 투입해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5.14
47717 'IPO 대어' 쏟아지는 나스닥…美공모주 투자 어떨까 [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랭크뉴스 2025.05.14
47716 "부모 둘 중 한명만 거주해도 출산장려금"…경북 최고 수준이라는 '이곳' 랭크뉴스 2025.05.14
47715 "쿠데타 장본인, 인성 말할 자격없어" 洪 두둔한 이준석, 권영세 저격 랭크뉴스 2025.05.14
47714 "남은 인생 본인답게"…'서부지법 난동' 선고 전 소회 밝힌 판사 랭크뉴스 2025.05.14
47713 조기대선 이끈 ‘광장의 빛’ 여성을 대선에서 지워버린 난센스 랭크뉴스 2025.05.14
47712 박찬대 "조희대 사과·사퇴해야‥국민요구 불응시 특검 불가피" 랭크뉴스 2025.05.14
47711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30대 男 징역 1년6개월, 20대 男 징역 1년 랭크뉴스 2025.05.14
47710 "국힘은 수리 불가" 직격에‥'洪 인성' 비난한 권영세 랭크뉴스 2025.05.14
47709 이재명 51%, 김문수 31%, 이준석 8%[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5.14
47708 “윤석열, 오늘쯤 탈당…측근들 설득 중” 조원진·서정욱 등 전언 랭크뉴스 2025.05.14
47707 잇단 구설에 입 연 백종원 "석달만 기다려달라…위기가 '제2의 창업' 기회될 것" 랭크뉴스 2025.05.14
47706 사우디 왕궁서 눈 감고 꾸벅…‘78세 트럼프’ 조는 모습 포착돼 랭크뉴스 2025.05.14
47705 트럼프 ‘약가 인하’ 바이오株 약세에도 저가 매수세…펩트론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