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47년 역사상 ‘첫 아시아인’
라스칼라 음악감독 선임 배경


오페라 9편 84회 공연 이끌어…정식 음악감독 제외 ‘최다’

‘자국인 우선’ 우파 정부서 승인…현지서 예술적 역량 인정


“라스칼라의 충격적 선택.”

12일(현지시간) 지휘자 정명훈(72·사진)이 이탈리아 밀라노의 오페라 극장 라스칼라의 음악감독으로 선정됐다는 발표에 영국 음악평론가 노먼 레브레히트가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내놓은 반응이다. 레브레히트는 클래식 음악계의 상업주의와 지휘자들의 신비주의에 거침없이 독설을 날려온 평론가다.

‘충격’이라는 표현을 쓴 이유가 있다. 2026년 말 임기가 끝나는 현 음악감독 리카르도 샤이의 후임으로 가장 유력했던 인물은 지휘자 다니엘레 가티였다. 밀라노에서 태어난 가티는 세계 최고 오케스트라 중 하나인 로열 콘서트헤보 상임지휘자, 영국 로열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음악감독 등을 지냈고, 2024년부터 독일 명문 오케스트라 슈타츠카펠레 드레스덴의 상임지휘자를 맡고 있다.

이탈리아는 오페라의 발상지이자 로시니, 벨리니, 베르디, 푸치니 등 위대한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들의 모국이다. 특히 1778년 개관한 라스칼라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상징과도 같다. 벨리니의 <노르마>, 베르디의 <나부코>와 <오텔로>, 푸치니의 <마담 버터플라이>와 <투란도트> 같은 걸작들이 초연됐고, 전설적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와 레나타 테발디가 오페라 주역 자리를 놓고 경쟁했던 곳이다.

이런 라스칼라의 247년 역사에서 아시아 출신 지휘자가 음악감독이나 상임지휘자를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명훈 이전에 이탈리아 출신이 아닌 사람으로 음악감독을 맡은 것은 유대계인 다니엘 바렌보임(2007~2014)이 유일했다. 19세기 말 이후 라스칼라를 맡았던 지휘자들은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클라우디오 아바도, 리카르도 무티, 다니엘 바렌보임 등 클래식 음악계의 과거와 현재를 대표하는 최고 음악가들이다. 오페라 평론가 유형종 무지크바움 대표는 “정명훈이 이런 대가들의 자리를 잇게 된 것”이라면서 “엄청난 일”이라고 말했다.

정명훈의 음악적 역량 등을 고려하면 놀랄 일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정명훈은 말러와 브람스 등 독일·오스트리아계 음악 연주로도 유명하지만, 이탈리아 오페라 해석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1989년 라스칼라 무대에 처음 선 이래 총 9편의 오페라를 84회 공연했고 141회의 콘서트를 지휘했다. 정식 음악감독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횟수다. 2023년엔 라스칼라 소속 오케스트라인 라스칼라 필하모닉의 명예지휘자로 추대됐다.

황장원 평론가는 “이탈리아 오페라 극장에서 꾸준히 좋은 공연을 해 높은 평가를 받았고 현재 라스칼라 명예지휘자이기도 하기 때문에 음악감독 선임이 아주 예외적인 일이라고 보긴 힘들다”고 했다.

정명훈의 라스칼라 음악감독 내정은 최근 이탈리아 우파 정부에서 자국 출신들을 우선적으로 기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이뤄졌다는 점에서 더 의미 있다.

노승림 평론가는 “라스칼라가 그만큼 정명훈의 예술적 역량을 인정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레브레히트는 “유일한 장애물은 이탈리아 정부의 승인 여부였는데 결국 아무도 반대하지 않았다”고 했다.

현재 밀라노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정명훈은 오는 19일 부산콘서트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소감을 밝힐 예정이다. 부산시는 2023년 7월 정명훈을 부산콘서트홀과 부산오페라하우스를 총괄하는 클래식부산 예술감독으로 위촉한 바 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19 ‘서부지법 난입’ 2명 실형…서부지법 판사가 밝힌 소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14
47718 강원 고성군 수동면 비무장지대서 산불 발생···헬기 3대 투입해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5.14
47717 'IPO 대어' 쏟아지는 나스닥…美공모주 투자 어떨까 [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랭크뉴스 2025.05.14
47716 "부모 둘 중 한명만 거주해도 출산장려금"…경북 최고 수준이라는 '이곳' 랭크뉴스 2025.05.14
47715 "쿠데타 장본인, 인성 말할 자격없어" 洪 두둔한 이준석, 권영세 저격 랭크뉴스 2025.05.14
47714 "남은 인생 본인답게"…'서부지법 난동' 선고 전 소회 밝힌 판사 랭크뉴스 2025.05.14
47713 조기대선 이끈 ‘광장의 빛’ 여성을 대선에서 지워버린 난센스 랭크뉴스 2025.05.14
47712 박찬대 "조희대 사과·사퇴해야‥국민요구 불응시 특검 불가피" 랭크뉴스 2025.05.14
47711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30대 男 징역 1년6개월, 20대 男 징역 1년 랭크뉴스 2025.05.14
47710 "국힘은 수리 불가" 직격에‥'洪 인성' 비난한 권영세 랭크뉴스 2025.05.14
47709 이재명 51%, 김문수 31%, 이준석 8%[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5.14
47708 “윤석열, 오늘쯤 탈당…측근들 설득 중” 조원진·서정욱 등 전언 랭크뉴스 2025.05.14
47707 잇단 구설에 입 연 백종원 "석달만 기다려달라…위기가 '제2의 창업' 기회될 것" 랭크뉴스 2025.05.14
47706 사우디 왕궁서 눈 감고 꾸벅…‘78세 트럼프’ 조는 모습 포착돼 랭크뉴스 2025.05.14
47705 트럼프 ‘약가 인하’ 바이오株 약세에도 저가 매수세…펩트론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5.14
47704 전현희 “이재명 유세장에 트럼프처럼 ‘4면 방탄 유리막’ 설치해야” 랭크뉴스 2025.05.14
47703 “목숨 다할 각오로”… 김흥국·최준용 등 연예인 10명, 김문수 지지 선언 랭크뉴스 2025.05.14
47702 ‘원조 친박’ 조원진 “윤석열, 탈당 오늘쯤 결단···김문수가 돼야 한다는 입장일 것” 랭크뉴스 2025.05.14
47701 국민의힘, 김문수 선대위에 '윤석열 대리인' 석동현 변호사 영입 랭크뉴스 2025.05.14
47700 ‘尹 파면 촉구’ 가수 하림 “국가 기관 행사 섭외, 갑자기 취소 통보”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