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글을 배우고 싶어서 간 야간학교도 아버지가 몽둥이를 들고 쳐들어오는 바람에 글을 못 배웠다.” “글을 보면 나는 꽃을 본 나비처럼 훨훨 날아가는 것 같다.”

지난달 부산시교육청이 시행한 검정고시 초등 부문 최고령 합격자인 박경자씨. 사진 박경자
지난달 부산시교육청이 시행한 초등 검정고시 최고령 합격자인 박경자(92ㆍ해운대구 반송동)씨가 쓴 시 ‘글이 너무 좋다’에 담긴 구절이다. 초등 부문 기준 부산에선 물론 전국 최고령 합격자다. 박씨는 13일 통화에서 “말로는 다 못할 만큼 고단한 삶을 살았다. 내 삶을 글로 옮길 수 있게 된 것도, 좋은 선생님 덕에 시험에 합격한 것도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13살 소녀 때 새긴 ‘못 배운 한’
박씨는 1933년 부산 영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전남 흑산도, 어머니는 경남 김해 출신이어서 어린 시절 이들 지역을 오가며 살았다고 한다. 그는 “김해에 살던 때 일본 학교엔 조금 다닌 적이 있지만, 한글을 배우지 못했다”고 했다.

‘글이 너무 좋다’에 쓴 야간학교 이야기는 박씨가 실제 겪었던 일이다. 그는 “글이 배우고 싶어 13살 때 야간학교를 찾아갔는데, 그때 아버지가 몽둥이를 들고 (야간학교에) 나를 데리러 왔었다”며 “아버지는 여자가 글을 배우거나 밖으로 나돌면 안 된다고 호통을 쳤다. 그래서 글 배우기를 포기했는데, 이게 평생의 한으로 남았다”고 말했다.



“7남매 건사하려 16가지 일했다”
어른이 돼 결혼을 하고 나서는 글공부할 시간이 없었다고 한다. 박씨는 “7남매를 낳고, 먹여 살려야 했다. 조선소 배 수리, 고기잡이, 옷 짓는 일 등 잠도 제대로 못 자고 16가지 일(직업)을 닥치는 대로 했다”고 회상했다.

지난달 부산시교육청이 시행한 검정고시 초등 부문 최고령 합격자인 박경자씨가 쓴 시. 박씨의 시엔 그의 인생 이야기가 담겼다. 사진 박경자
박씨의 남편은 40년 전 암으로 숨졌고, 슬하 7남매 중 두 아들도 2010년, 2016년 무렵 떠나 보냈다. “자식을 먼저 보낸 슬픔을 견딜 수 없었다”는 게 박씨 설명이다. 그러던 중 박씨는 5년 전 동네를 지나다 우연히 ‘파랑새 복지관에서 한글을 가르쳐준다’는 안내를 봤다.

그는 “교회를 다니면서 어깨너머로 배워 조금은 읽을 수 있었다. 그 덕에 안내를 알아봤다”며 “퇴행성 관절염 때문에 다리가 많이 불편하지만, 복지관은 집이 가까워 걸어 다닐 수 있었다. 무엇보다 글을 제대로 배우고 싶다는 열망이 컸다”고 했다.

복지관에서 글을 배우는 동안엔 쑤시는 듯한 퇴행성 관절염의 통증도, 자식을 보낸 허전함도 잠시 잊을 수 있었다고 한다. 마음껏 읽고 쓸 수 있게 된 박씨는 시화전에 작품을 내 몇차례 입선도 했다. ‘글이 너무 좋다’처럼 그가 쓴 시엔 모두 인생 이야기가 담겼다.



“어머님은 할 수 있어요” 용기 준 선생님 말
검정고시에 응시하게 된 계기에 대해 박씨는 “2, 3년쯤 전 복지관 이영지 선생님이 검시를 준비해보라고 권했다. ‘어머님이라면 할 수 있다’는 선생님 말씀이 정말 큰 응원이 됐다. 국어뿐 아니라 사회, 수학, 과학 같은 과목을 공부해야 했는데 선생님이 친절히 가르쳐주셨다”며 고마움을 표했다.

박경자씨가 복지관에서 시화전에 낼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박경자
지난해 처음 치른 시험에선 낙방했다. 초등 검정고시는 필수 4과목(국어ㆍ수학ㆍ사회ㆍ과학)과 선택 2과목(도덕ㆍ체육ㆍ음악ㆍ미술ㆍ실과ㆍ영어 중 택2)에 응시해 평균 60점을 넘겨야 합격한다. 그는 “작년엔 시험이 쉽다고 생각했는데도 떨어졌다. 올해는 시험이 어렵다고 느껴져 걱정했는데 오히려 붙었다”며 “가장 어려웠던 과목은 국어다. 정해진 시간 안에 글을 다 읽고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게 어렵게 느껴진다”고 했다.

박씨에겐 중등검시에 도전하고픈 마음도 크다. 하지만 배울 곳이 마땅찮다고 한다. “중등 공부를 가르쳐주는 곳이 있지만 버스를 두세번 갈아타야 하고 거리도 멀다. 아픈 다리를 이끌고 그 먼 길을 다니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하는 박씨 목소리엔 진한 아쉬움이 느껴졌다. 다만 그는 “글을 배우면서 시를 쓰고 그림 그리는 일은 계속해서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교육청 전경 (부산=연합뉴스) 부산광역시 교육청 전경 DB. 2014.4.11 (끝) 〈저작권자 ⓒ 2014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45 “서울 집값 감당 못해” 30대 내 집 마련 전략 바꿨다 랭크뉴스 2025.05.14
47744 권성동, 홍준표 향해 “모든 노여움 제게 담고, 김문수와 함께 해달라” 랭크뉴스 2025.05.14
47743 경찰, 헌재 게시판 '탄핵 반대 매크로 의혹' 피의자 소환 통보 랭크뉴스 2025.05.14
47742 이준석 "여성표 받겠다고 여가부 확대 개편? 포퓰리즘 찌든 민주당" 랭크뉴스 2025.05.14
47741 이재명, 부산 찾아 "산은 이전 어려워…해수부·HMM 옮겨올 것" 랭크뉴스 2025.05.14
47740 [속보] 이재명 "산업은행 대신 해양수산부·HMM 부산 이전하겠다" 랭크뉴스 2025.05.14
47739 국힘서도 “선거 하자는 거냐”…윤석열 변호인 선대위 합류에 반발 랭크뉴스 2025.05.14
47738 국힘, '尹 자진탈당' 요구 확산…일각선 "강제 조치도 필요" 랭크뉴스 2025.05.14
47737 허위사실 공표죄 요건 중 ‘행위’ 삭제한 선거법, 법사위 통과 랭크뉴스 2025.05.14
47736 '이재명 면소' 공직선거법 개정안, 민주당 주도로 법사위 통과 랭크뉴스 2025.05.14
47735 이번엔 ‘아들 특혜’…김병지 ‘공든탑’ 아슬아슬 랭크뉴스 2025.05.14
47734 "배현진, 미스 가락시장" 발언 논란에…김문수 측 "진의 왜곡" 랭크뉴스 2025.05.14
47733 "남은 인생 본인답게"…서부지법 난동 2명에게 판사가 한 말 랭크뉴스 2025.05.14
47732 홍준표 "비열한 집단에서 다시 오라고…정나미 떨어져 근처에도 가기 싫다" 랭크뉴스 2025.05.14
47731 '탄핵이 필요한 거죠' 尹 풍자 가수 불송치…KTV 고소 취소 랭크뉴스 2025.05.14
47730 트럼프의 ‘통일’ 언급에 대만 충격…‘中에 대만 팔아먹나?’ 랭크뉴스 2025.05.14
47729 김건희 "검찰 출석 어렵다‥대선에 영향줄까 봐" 랭크뉴스 2025.05.14
47728 서부지법 난동 첫선고 2명 실형…법원 "결과 참혹…모두 피해자"(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14
47727 '조희대 특검법' 법사위 상정…민주 "국민적 요구" 국힘 "사법탄압" 랭크뉴스 2025.05.14
47726 김용민 "'尹 내란사건' 재판장, 룸살롱서 수차례 술접대 받아"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