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공식 선거운동 시작으로 한껏 더 분주해진 정치권 이모저모, 정치팀 이기주 기자와 짚어볼 부분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주제는 < "경기지사 대 경기지사" >

이재명·김문수 두 후보가 공교롭게도 모두 경기도지사 출신이죠?

◀ 기자 ▶

네, 나란히 경기도지사를 지낸 이재명·김문수 두 후보 모두 경기도에서 정책들을 성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후보들의 그 시절 모습부터 보시죠.

[김문수/당시 경기지사 (2010년 6월 4일)]
"규제를 완화해서 일자리를 많이 만들고, GTX를 통해서 교통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합니다."

[이재명/당시 경기지사 (2021년 5월 26일)]
"바가지, 자릿세, 불법 시설물 없는 3무 청정계곡이라고 해요. 강제 철거라고 하는 물리력을 행사한 것은 딱 6건밖에 없습니다."

인구가 많은 지역의 광역자치단체장들은 종종 차기 대권주자로 급부상하곤 하는데, 서울시장 중에선 이명박 전 대통령, 오세훈 현 시장이 대표적입니다.

경기도에선 이인제·손학규·남경필·김문수·이재명에 이어 김동연 현 지사까지 대권에 도전했다 낙마하면서, '경기지사 무덤론'이란 말도 나왔었는데요.

김문수·이재명 두 후보는 재수·삼수 끝에, 전직 경기지사 맞대결을 성사시켰습니다.

◀ 앵커 ▶

아무래도 이번에는 '경기지사 무덤론'이 '대망론'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다음 소식 보겠습니다.

"나를 이렇게 키운 건 서영교" 민주당 서영교 의원이 김문수 후보를 키웠다는 얘기인가요?

◀ 기자 ▶

네, 상대당 대권주자를 키워줬다는 얘기가 무슨 말인지, 준비한 영상부터 보시죠.

[서영교/더불어민주당 의원 (2024년 12월 11일)]
"일어나십시오. <제가 대신 한번…> 다 일어나고 있습니다. 자 다 같이 일어나세요."

[박종진/전 김문수캠프 전략기획본부장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나를 이 자리에 앉혀 놓은 사람이 서영교 의원이다. 민주당. 서영교 의원이 전부 일어나서 사과하라고 그랬는데 본인이 꼿꼿이 딱 앉아 있었잖아요. 그거 하나로 자기 여기까지 왔다."

정치권에선 상대 진영의 거센 공격을 받고, 잘 맞받아치거나 꿋꿋하게 버티면서,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김 후보가 작년 12월 국회 상황을 그런 사례로 언급한 겁니다.

서영교 의원에게 어떻게 생각하냐 물어보니, "국민의힘에게 '큰 짐'을 안겨줘서 미안하다"고 비꼬았습니다.

◀ 앵커 ▶

마지막 소식 보겠습니다.

<하와이 가서 몸값 오른 홍준표>

정계은퇴를 선언하고 미국으로 떠났는데, 홍준표 전 대구시장, SNS 메시지도 그렇고 오히려 주목도는 더 높아진 것 같아요?

◀ 기자 ▶

네, 홍준표 전 시장은 정계를 은퇴했는데, 정치권에선 여전히 홍 전 시장 얘기가 끊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홍 전 시장은 SNS에 미국 하와이 사진과 함께 "탁 트인 수평선이 꽉 막혔던 마음을 활짝 열었다"며 근황을 전했는데요.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SNS에 "노련한 정치가이자 가장 부담스러운 상대였다"며, "낭만의 정치인을 기억한다, 돌아오시면 막걸리 한 잔 하자"고 적었습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지난 10일 인천공항 출국길까지 배웅하며, 보수진영 대안으로 눈도장을 찍으려 했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도 거절당하긴 했지만, 선대위원장직을 제안하기도 했었죠.

정계은퇴를 선언했지만, 존재감이 여전한 홍 전 시장.

과거에도 정계은퇴를 번복한 전력이 있는데, 이번에는 어떨지 행보가 궁금해집니다.

◀ 앵커 ▶

이기주 기자 잘 들었습니다.

영상편집: 김재환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47 미중 관세 완화에도…비트코인 10만2천달러대로 후퇴 랭크뉴스 2025.05.13
47146 분배는 외면 ‘성장’만 강조, 막연한 재원 조달책·감세도 닮은꼴 랭크뉴스 2025.05.13
47145 조희대, 청문회 불출석에 특검법 꺼낸 민주당…대법 길들이기? 랭크뉴스 2025.05.13
47144 뉴욕증시, 미중 관세 인하에 '환호 랠리'…나스닥 4%↑ 랭크뉴스 2025.05.13
47143 미중 ‘관세’ 합의에 뉴욕 증시 급등…“이미 경제에 영향” 랭크뉴스 2025.05.13
47142 민주당이 밀던 기후공약 ‘탄소세’···이번 대선에서 사라진 이유 랭크뉴스 2025.05.13
47141 애플 6.3%·엔비디아 5.4%·테슬라 6.7%↑…미중 관세완화에 환호 랠리 랭크뉴스 2025.05.13
47140 軍통수권자 될 대선후보, 병역은?…현역 2명뿐, 이재명·김문수 ‘면제’[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13
47139 '빛의 혁명' 출정‥"내란 끝내고 IT 강국으로" 랭크뉴스 2025.05.13
47138 경제·안보 내세우고‥대구 찾아 지지층 '달래기' 랭크뉴스 2025.05.13
47137 뉴욕 브루클린 부동산에 투자한 韓 금융사들 20%대 손실… 채권 매각 과정서 잡음도 랭크뉴스 2025.05.13
47136 30대 비대위원장 김용태의 사과... 김문수 메우고 이준석 누르기 랭크뉴스 2025.05.13
47135 “20만 원 쓰면 19만 원 환급”… 신용카드 고액 캐시백 눈길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5.13
47134 권영국은 첫날 ‘하늘감옥’에…“스스로 가둬야 목소리 듣는 현실 바꿀 것”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13
47133 서울버스 이용객 10년새 19%↓…운행 축소로 이어지나[양철민의 서울 이야기] 랭크뉴스 2025.05.13
47132 [재테크 레시피] 月 10만원 저축하면 정부가 30만원 얹어주는 이 적금은 랭크뉴스 2025.05.13
47131 "테러범 1100명 제거, 인간한계 넘었다" 美국방 칭찬한 이 부대 [밀리터리 브리핑] 랭크뉴스 2025.05.13
47130 세입자 피눈물 흘린 그 집...사기범은 깔세 놓고 감옥서 돈 번다 랭크뉴스 2025.05.13
47129 [단독] “‘2000만’ 틱토커 접촉 중”… 민주당, MZ 잡기 나선다 랭크뉴스 2025.05.13
47128 [가만한 당신] "마지막 나치 전범" 여성의 삶과 재판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