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과 중국이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한 고위급 통상 회담 결과 90일 간 고율 관세를 대폭 낮추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현재 145%인 대중국 관세를 30%, 중국은 125%인 대미 관세를 10%로 일시적으로 인하하고, 향후 경제·무역 관계에 관한 실무 및 고위급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관세전쟁’이 치킨게임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최고조에 이른 무역 긴장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가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미중 무역 협상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키스톤제공 | A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은 12일(현지시간) 발표한 ‘제네바 미·중 경제 무역 회의에 관한 공동성명’을 통해 관세 인하 조치를 14일까지 취하기로 합의했다. 미국 측 협상 수석대표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양국이 회담을 통해 “공동의 이해관계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며 “양측 대표단 모두 디커플링(공급망 분리)은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컨센서스였다”고 밝혔다.

합의 결과 지난 4월9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125%는 10%로 낮아진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마약류 펜타닐 유입을 이유로 부과한 20% 추가 대중 관세와 품목별 관세는 유지된다. 중국도 미국에 취한 보복 관세 125%를 10%로 낮추고, 미국에 대해 취한 비관세 대응 조치를 유예 또는 철폐하기 위한 조치에 착수하기로 했다.

미·중은 경제·무역 관계에 관한 논의를 지속하기 위한 협의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실무 대화를 이어가기로도 합의했다. 중국은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 미국은 베선트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각각 협의를 이끌고, 회의는 양국에서 교대로 열거나 또는 제3국에서 진행할 것이라고 공동성명은 밝혔다. 성명은 “양자 경제·무역 관계가 양국과 세계 경제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 가능하며 장기적이고 상호 이익이 되는 경제·무역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서 “상호 개방과 지속적인 소통, 협력, 상호 존중의 정신에 따라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우리 모두는 무역, 보다 균형 잡힌 무역을 원한다”면서 “양측 모두 이를 달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측과 매우 건설적인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도 강조했다. 그리어 대표는 협상이 “상호 이해 및 존중을 바탕으로 진행됐다”면서 양측이 중국이 원산지인 펜타닐 원료의 미국 유입을 막기 위한 방안에 대해 실질적 논의를 벌였다고 전했다. 그리어 대표는 동시에 미국의 상품 무역적자가 계속 불어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보복관세를 매긴 유일한 나라였다고 지적했다.

이번 합의로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으로 번진 미·중 관세 전쟁은 소강 국면에 접어들게 됐다. 그러나 핵심 산업 부문에서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 움직임을 비롯해 근본적인 미·중 전략 경쟁 흐름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베선트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양국이 의약품, 철강 등 공급망 취약성이 존재하는 전략 산업 부문 5~6개를 확인했다면서, 미국이 동맹국들과 함께 공급망 독립성과 회복성을 추구하며 “전략적 재균형”(strategic rebalancing)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중은 11일 제네바에서 이틀간 열린 무역협상을 마친 뒤 “실질적 진전을 이뤘다”고 밝히면서도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은 상태였다. 그리어 대표는 “우리가 얼마나 빨리 합의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는 예상보다 (양국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미·중 합의에 시장은 환호했다. 미 나스닥100 지수 선물은 3%대,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 지수 선물은 2%대 상승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18 이재명·김문수·이준석 닉네임 못 쓴다… 스타벅스, 대선 때까지 후보 이름 사용 금지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17 김문수 “尹 탈당, 생각해본 적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16 연봉 보다 이게 더 큰 문제…'신입사원 조기 퇴사' 이유 1위는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15 여성 국회의원 향해 ‘미스 가락시장’…김문수 후보 발언 논란[컨트롤+F]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14 이재명 "남북 군사긴장 완화" vs 김문수 "자체 핵잠재력 강화"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13 김문수 “윤석열 출당? 도리 아니다···탈당 여부는 본인의 뜻”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12 300억짜리 회사가 1조 대어로… 스톤브릿지, 리브스메드 ‘대박’ 회수 눈앞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11 청년층 대상 ‘연 3천% 이자’에 ‘나체 사진’ 담보 요구…불법 대부업 조직 총책 검거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10 디올 “고객 정보 지난 1월 해킹…금융정보는 미포함”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9 설날 ‘교도소 지인’ 집 찾았다가…누나 홧김에 살해한 60대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8 1분 200만개 뇌세포 죽는 뇌졸중···"골든타임 확보 위한 특수구급차 도입을"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7 [신종수 칼럼] 지더라도 잘 지는 게 중요하다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6 경비실서 성관계 하다 숨진 경비원…中법원서 '산재' 인정된 까닭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5 [속보] 대구고법 “포항 지진에 국가 배상 책임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4 [단독] AI위원회 설치·G7 참석... 이재명, 하루 단위로 '100일 집권 로드맵' 준비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3 [속보] 포항지진 손배소송 항소심 "1심 원고 일부승소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2 젊은 비대위원장 김용태, 젊은 거 말고 또 뭐? [5월13일 뉴스뷰리핑]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1 "백스텝 몰라" 유시민 혀 내둘렀다…고문도 버틴 투사 김문수 [대선주자 탐구] new 랭크뉴스 2025.05.13
47200 “8만 원 내고 남편·아이들까지”…축의금 논쟁 [잇슈 키워드]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99 항생제 8500톤이 매년 강으로 흘러들어간다 new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