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中 제네바 공동성명]
무역전쟁 발발전으로 관세 복귀
中,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 중단
1기 때도 타결까지 20개월 걸려
90일 일시휴전에 그칠 가능성도
스콧 베선트(오른쪽) 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12일(현지 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중국과의 무역 협상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갖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미국과 중국이 12일(현지 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상대국에 대한 관세율을 115%포인트씩 대폭 내리는 ‘빅딜’에 전격 합의한 것은 무역 전쟁이 서로에게 치명상을 입히고 있다는 위기감에서다. 특히 관세율이 ‘50~60% 정도까지만 낮아질 것’이라는 예상보다 실제 인하 폭이 더 컸고 중국에서도 희토류 수출통제와 보잉사 항공기 인도 중단 등 미국의 반발이 컸던 비관세 조치를 철회하기로 하는 등 양국이 ‘실질적인 합의를 이뤘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다만 양국이 인하된 관세율을 90일간 유지하는 ‘일시 휴전’인 만큼 향후 협상 여부에 따라 무역 전쟁이 재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날 블룸버그통신·CNBC 등 매체에 따르면 이번 합의에 따라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율은 145%에서 30%로,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25%에서 10%로 각각 115%포인트씩 크게 낮아졌다. 미중 무역 전쟁 발발 전이었던 지난달 초 수준으로 관세율이 돌아간 것으로 서로에 대해 부과한 ‘보복’ 성격의 관세 대부분을 거둬들이고 각각 10%의 상호관세만 남긴 셈이다. 다만 미국은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30% 유지했는데 기본관세(10%)에 올 초부터 매기고 있는 이른바 ‘펜타닐 관세(10+10%)’를 더한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은 이번 합의를 통해 희토류 수출통제와 미국 보잉사에 대한 항공기 인도 중단 등 미국을 상대로 내렸던 비관세 조치 역시 중단하기로 했다. 두 조치 모두 미국의 아킬레스건을 노린 조치라는 평가가 나왔던 것으로 그만큼 이번 합의로 양국 간 무역 공방의 긴장도가 크게 낮아졌음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미국과 중국이 상당히 진전된 무역 합의에 이르게 된 데는 강대강 대치가 지속될 경우 양국 경제가 회복할 수 없는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위기감을 서로 공유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관세발(發) 수입 축소에 경제를 떠받치는 소비가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널리 퍼졌다. 월마트·타깃·홈디포·로스 등 미국 4대 유통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이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곧 마트 진열대가 텅 비게 될 것”이라는 ‘경고’를 전한 것도 이 때문이다. 중국도 지난달 중국의 대미 수출액은 330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418억 달러)보다 21% 넘게 급감하고 제조업 역시 수축 국면에 접어드는 등 무역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본격화하고 있었다. 제네바에서 협상에 나선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합의문 발표 이후 기자회견에서 “양국 대표단은 어느 쪽도 디커플링은 원하지 않는다는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도 담화문을 내고 “양국 생산자와 소비자의 기대에 부합하고 양국 이익과 세계 공동 이익에도 들어맞는다”고 논평했다.

특히 양쪽 모두 향후 펜타닐 문제에 대해 논의를 계속 이어간다는 입장인 만큼 논의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관세 인하도 가능한 상황이라는 평가다.

미중 간 전격적인 합의 타결 소식에 시장도 즉각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홍콩 핀포인트자산관리의 지웨이 장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합의로) 낮아진 관세율은 예상보다 훨씬 낮다”면서 “90일 임시 조치지만 매우 좋은 시작점이다. 투자자들의 우려가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타이 후이 JP모건 전략가도 “(관세로 인한 침체 우려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압력도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관세율 인하가 90일 동안 유지되는 것인 만큼 양국 간 무역 전쟁이 일시적인 휴전에 그친 점은 시장에서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포괄적 무역 합의까지 이르지 못한 점 역시 한계로 지적된다. 단적으로 트럼프 1기 때의 사례에 비춰봐도 최종 합의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것이다. 미중은 7년 전인 2018년 5월 각국 무역협상 대표가 워싱턴과 베이징을 오가며 협상을 시작했지만 최종 합의는 20개월이 지난 2020년 1월에야 이뤄졌다. 그 사이 미국은 25%의 관세율을 적용받는 중국산 제품 규모를 계속 늘렸고 2019년 8월에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중국 역시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매겼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적당한 시점에 만나 ‘톱다운식’ 해법을 모색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허리펑(가운데) 중국 국무원 부총리, 리청강(오른쪽)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 겸 부부장, 랴오민 재정부 부부장이 11일(현지 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42 김문수 “가짜 진보 찢어버리고 싶다” 막말…선대위 수습 진땀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41 [속보]트럼프 “중국과의 관세 합의, 철강·자동차·의약품에는 해당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40 김문수 쪽 “계엄보다는 고통 겪는 국민께 사과하는 데 방점”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9 중국 “미국, 일방적 관세 인상 잘못된 관행 바로잡길”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8 [속보] 트럼프 “中과 합의에 車·철강·의약품 관세 미포함”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7 김문수, 尹비상계엄 첫 공식 사과… “국민들에게 죄송”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6 ‘경영난’ 닛산, 1만명 더 구조조정키로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5 법원, '대법원 기습 시위' 대진연 회원 4명 구속영장 기각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4 정명훈, 아시아인 최초 ‘라 스칼라’ 신임 음악감독 선임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3 “尹 ‘총 쏴서라도’ 통화 들었는데… 회견 본 뒤 배신감에 증언”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2 '관세 타격'에 수출 줄어가는데‥미·중 합의에 안도감?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1 검찰, 김 여사 14일 출석 요구‥출석 여부는 '불투명'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30 美中 관세 합의에 뉴욕증시 급등… ‘해방의날’ 낙폭 모두 회복(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29 뉴욕증시, 미중 관세인하에 급등 출발…나스닥 개장 초 3%대↑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28 정명훈, 이탈리아 ‘라 스칼라’ 음악감독 임명…아시아인 최초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27 정명훈, '247년 역사상 아시아 최초' 伊 라 스칼라 음악감독(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26 머리 감기만 해도 '풍성'…1초에 5병씩 팔린 카이스트 '마법 샴푸' 대박 나더니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25 ‘대법원 진입 시도’ 대진연 회원 4명 구속영장 기각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24 윤석열, 첫 공개 출석…“총 쏴서라도 들어가라는 지시 들어” 또 증언 new 랭크뉴스 2025.05.12
47023 "이재명·김문수님, 주문하신 아메리카노…" 금지한 스타벅스, 이유 보니 new 랭크뉴스 2025.05.12